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6~7세기 高句麗왕릉과 百濟·新羅왕릉의 구조 비교
고구려발해연구
2008 .03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출현과경주 월성북고분군의 묘제 전개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연접묘를 통해 본 고구려 적석총의 전개 과정
중앙고고연구
2020 .01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영산강유역 원형분의 출현 배경과 의미
야외고고학
2018 .01
대구 달성고분군의 편년과 성격
야외고고학
2020 .01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문화
고구려발해연구
2005 .09
울산지역 삼국시대 유·소아묘에 대한 검토 - 김해 예안리고분군 유·소아묘의 사례를 기준으로 -
고고광장
2011 .01
통구고분군 적석총의 군집양상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10 .07
南韓內高句麗古墳의 檢討
고구려발해연구
2009 .11
남강상류 가야고분군의 입지와 분포 패턴 - GIS를 이용한 경관고고학적 해석과 네트워크 분석 -
중앙고고연구
2019 .01
신라 적석목곽분 기원 연구의 방향
중앙고고연구
2016 .01
中國古代의 守墓制度
동양사학연구
2013 .09
集安지역 高句麗 王陵의 造營
고구려발해연구
2008 .07
신대동 고구려고분군 발굴 정형에 대하여(중)
한국사학보
2018 .02
일제강점기공주 송산리고분의 조사
중앙고고연구
2012 .01
신대동 고구려고분군 발굴 정형에 대하여(상)
한국사학보
2017 .11
고구려 왕릉급 대형적석총의 型式과 編年
한국사학보
2009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