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문화학회 중국학논총 중국학논총 제57호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79 - 97 (1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三宜堂金氏是生活在朝鮮末期的女性詩人。她是一個沒落士大夫的後代(金馹孫的後代),18歲(1786)時與湛樂堂河笠締結婚姻。她畢生留下的詩文均收錄於《三宜堂金夫人遺稿》之中,該書於1930年出版。三宜堂金氏十分善於寫詩,《韓國漢詩》第3卷女性詩篇中共翻譯并收录了她的詩作59篇,與黃真伊5篇、蘭雪軒許氏30篇、師任堂申氏2篇相比,這组数字是对其實力的肯定。甚至在趙東一编纂的《韓國文化通史》卷3中也提及到了三宜堂金氏,可以說她是一位非常優秀的詩人。三宜堂金氏作為士大夫閭閻家的詩人,主要創作詩歌,所創作的詩文中有不少關於《詩經》的內容。她熟讀《詩經》并確立了《詩經》觀及詩觀,很好地掌握并发挥《詩經》詩的效用性及活用性,这为她自己詩歌性質和特色的形成,奠定了基礎。三宜堂金氏在自己創作的235篇詩中,活用《詩經》詩句,展示各種表現手法,这是非常出色,达到了其他诗人無法模仿的水平。她使用的手法有以下几种:引用《詩經》詩語、對《詩經》詩句進行再調和及化用、《詩經》詩句的再造合及化用。其中最高超的表現手法可以說是《詩經》詩句的再造合及化用。金夫人在創作詩作時,既有原封不動地引用《詩經》詩語或詩句的情況,但大部分使用了《詩經》詩句再造合及利用的這種手法,既類似於《詩經》詩句,卻換作其它表現來表達自己的想法,十分巧妙靈活。這種活用不同與自春秋時代開始流行的《詩經》詩篇的“斷章取義”。金夫人將這種手法運用到自己的詩篇中,既作爲詩的表現根據,同時使詩具有含蓄性,在營造詩歌古樸風格時,呈現出高水平的境界。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