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욕망의 제도화와 ‘단종’
Ⅱ. 격리정책의 모순과 젠더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일 한센병문학 비교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021 .04
일본 한센병소설의 계보와 변천 - 격리와 불치(不治)를 넘어서 -
일본학보
2016 .01
1970, 1980년대 한국영화에서 한센병 재현
인문연구
2018 .06
마이너리티연구에 있어서의 당사자성 문제*: 한센병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횡단인문학
2019 .01
격리라는 말의 생애 - 한국 한센병 기록 중 몇 가지 사례들
문학들
2020 .05
한일 한센병문학의 여성과 ‘격리’ 연구 서설
아시아문화연구
2022 .04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의 인생과 역사: 가인 김하일의 단카 작품을 중심으로
횡단인문학
2019 .01
애도 (불)가능의 신체와 문학의 정치성-한센병 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2018 .01
점점 사라져가는 얼굴들 곁에서: 한국 한센병문학 연구의 특수한 시점
횡단인문학
2019 .01
한센병을 둘러싼 제국의학의 근대사 : 일본어 미디어를 통해 본 대중관리 전략
의사학
2017 .12
한센인의 유랑과 정착에 대한 불안 의식 연구 - 한센병 문학을 중심으로 -
인문연구
2017 .04
요양소의 담을 넘어 : 한센병문학의 위기와 사회화 담론의 계보
일본문화연구
2018 .10
마이너 신체성의 굴레 : 사회파 추리소설 『모래그릇(砂の器)』에서 보는 한센병
아시아문화연구
2017 .12
Hansen’s Disease and Patient Writing in Colonial Taiwan’s Sanatorium, 1934-1944: The Affect of the Instit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2 .02
식민지기 한센병 환자를 둘러싼 죽음과 생존
의사학
2019 .08
한센병문학과 오키나와
횡단인문학
2019 .01
한하운 시의 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 ‘마음’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19 .09
말레이반도에서의 한센병 관리 정책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
2020 .01
“달과 별이 없어도 밝은 밤”-한센병의 감각과 증언
구보학보
2020 .01
마이너리티 간의 교섭은 가능한가? ― 한센병소설 속 주변인과 고이즈미 다카유키 ―
일본학보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