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三上喜孝 (日本 國立歷史民俗博物館) 오택현 (동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목간학회 목간과문자 목간과문자 제22호
발행연도
2019.6
수록면
361 - 371 (11page)
DOI
10.35302/wdis.2019.06.22.36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매년 최근 일본에서 출토된 목간 중 주목되는 것을 선택해 소개했지만, 이번에는 작년에 이어서 필자가 조사에 관여한 漆紙文書의 출토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秋田城이란 秋田県 秋田市에 있는 고대 城柵으로 山形県 庄内地方에 있던 出羽柵을 733년(天平5)에 이동시킨 것이다. 8세기 후반에는 出羽国府를 두었다고 하는 견해가 있다. 秋田市 教育委員会에 의해 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최근 조사에서 漆紙文書, 木簡, 墨書土器와 같은 유물에서 문자자료가 대량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 111차 조사에서는 秋田城의 西門 유적지 부근에서 발굴된 토기에 부착되었던 漆紙文書가 출토되었다.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해 조사해 보니 고대 具注曆의 일부가 확인되었다.
具注暦이란 지금의 달력인데, 暦日을 표시한 것 이외에도 日의 干支, 納音, 十二直, 節気, 七十二候, 吉凶과 禍福 등의 暦注를 적어 놓은 暦이었던 것이다.
고대 일본에서는 具注暦이 매년 중앙정부의 陰陽寮에서 작성되어 中務省을 거쳐 諸司·諸国에게 배포되었다. 그러나 頒暦의 실태는 諸国에서 雑掌들이 都에 가서 서사해 가지고 왔다고 생각된다. 国府에 준비된 具注暦은 다시 동일하게 서사되어 国府 내의 기관과 国分寺 그리고 郡家 등에도 구비되었을 것이다.
具注暦의 서식은 일반적으로 상 · 중 · 하 3단으로 되어 있다. 상단에는 日付 · 干支 · 納音 · 十二直, 중단에는 24절기와 七十二候, 하단에는 暦注와 吉事注 등을 기재했다.
고대의 具注暦은 각지에서 漆紙文書의 형태로 출토되고 있다. 正倉院 文書에서 전래된 3개의 사례를 포함해 具注曆은 이제까지 15건 정도 확인되고 있다.
이번에 출토된 秋田城 111차 조사 출토 漆紙文書는 남겨진 문자 정보에서 宝亀 9년(778) 具注暦으로 4월 30일~5월 3일 부분일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漆紙文書가 부착되어 있던 토기의 연대와도 일치하는 연대관이다.
秋田城跡에서는 天平宝字 3년(759)의 具注暦 漆紙文書가 발견되었고, 기록된 具注暦은 儀鳳暦이다. 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778년 暦은 大衍暦이여서 하나의 유적에서 儀鳳暦에서 大衍暦까지의 具注暦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또 잘못 서사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도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秋田城이라는 官司에서 具注暦이 2차로 서사되었을 가능성도 엿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유물현황 및 판독문
III. 具注暦이란 무엇인가
IV. 연대의 판정
V. 나가며 - 이번에 발견된 漆紙文書의 意義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