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카프카 문학과 상호매체성 연구
Ⅱ. 그래픽 노블과 만화의 문학수용
Ⅲ. 비유의 메커니즘: 미하엘 비트만의 단편만화 「이야기들」
Ⅳ. 카프카의 삶과 문학에 대한 단상: 메어로위츠/로버트 크럼의 그래픽 노블 『카프카』
Ⅴ. ‘카프카에스크 Kafkaesque’: 피터 쿠퍼의 그래픽 노블『변신』과『포기하라!』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막스 브로트의 카프카 읽기
카프카연구
2016 .06
카프카 작품 속 ‘웃음의 위치’ - 『성』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20 .10
베를린이라는 환상: 카프카의 베를린 단편 「굴」의 매체 전이 가능성 담론과 동베를린 출신 프라이당크 감독의 <카프카의 굴>의 정치적 각색영화 비평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24 .03
여행문학텍스트로서 카프카의 여행일기 -시각적 지각방식과 문학적 의미화를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22 .02
디지털 매체와 이동의 시대, 정체성의 문제와 환상성의 부활 - 다니엘 켈만의 <명성>과 스티븐 울리의 <아담의 푸가>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5 .01
Kafka und die jiddische Kultur
카프카연구
2017 .12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시리즈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7 .06
현대의 야만성에 나타난 신화와 계몽의 유희- 이성 중심 사회에 대한 문학적 성찰
독일어문학
2015 .01
문학치료의 텍스트 활용 : 카프카의 단편을 실례로
카프카연구
2017 .06
헤르만 브로흐의 시대인식과 예술관 - 에세이 「호프만스탈과 그의 시대」를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2019 .01
덫으로서의 현대 세계와 소설의 양가성(I) -쿤데라와 카프카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5 .01
‘Verwandlung’의 세계와 ‘변신’의 세계 - 가능세계이론을 바탕으로 한 카프카의 『변신』 번역비평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23 .03
카프카와 다위니즘 : 다위니즘에 비춰본「학술원에 드리는 보고」
카프카연구
2016 .12
18세기 후반 독일 출신의 러시아 여제 카타리나 2세가 독일과 러시아의 관계에 있어 발휘한 역할과 영향
독일어문학
2017 .01
만화가 니콜라스 말러와 문학만화- 만화 『프란츠 카프카의 논스톱 폭소기』를 중심으로
독일현대문학
2017 .11
성과주의 시대의 주체문화와 ‘기업가적 자아상’- 에른스트 빌헬름 핸들러의 소설 『우리가 죽는다면을 중심으로』
독일현대문학
2018 .01
전후 독일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슐링크의 인식 - <책 읽어주는 남자>, <주말>, <귀향>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019 .01
독일문화와 실크로드의 관계 연구-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상황 및 차후 전망에 대하여
독일어문학
2016 .01
영화 <카프카의 굴 Kafkas der Bau>에 나타난 현대인의 실존 문제
독일언어문학
2017 .01
Erzählen in der graphischen Literatur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