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직장인의 미투운동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18 .01
한국 미투 운동 이후 페미니즘 정치의 전환: ‘연대의 정치’를 향하여
정치사상연구
2019 .11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018 .08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언론정보학보
2020 .12
언론보도에 나타난 미투운동의 정량 담론분석: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22 .12
미투 담론을 통해 바라본 시적 형상화
인문사회 21
2019 .01
미투운동은 누구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지지받는가? : 미디어의 동원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8 .12
보고서 〈미투 시대의 저널리즘〉 : 미투(#MeToo) 7년, 언론의 새로운 시선과 여실히 가려진 실태
신문과방송
2024 .12
세대, 성차별, 권위주의 그리고 미투(#MeToo) : 개방형 문항을 통한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사회학
2021 .08
#MeToo에서 #WeListen으로 ― 스쿨미투 제2막을 여는 청소년들
월간 시대
2020 .03
‘미투’ 운동의 매체 프레임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사건 보도와 실재의 재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2020 .06
업무상 위력에 의한 성폭력범죄와 성인지 감수성
형사판례연구
2020 .01
#미투(MeToo)운동을 통해 본 법과 현실의 괴리
경제와사회
2018 .12
“우리는 더디지만 나아가고 있다” : ‘미투 운동(#MeToo)’ 이후 성평등 보도를 위한 한국 언론의 실천과 과제
미디어, 젠더 & 문화
2021 .09
미투의 형성 권력
여성학논집
2018 .01
Feminism, sexual violence and the times of #MeToo in India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2020 .01
SNS를 통한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 : “#그런데최순실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17 .06
Individual and collective empowerment: Women's voices in the #MeToo movement in China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2019 .01
증언과 저널리즘 :
언론과 사회
2019 .05
청년 여성들의 성평등 실천, 그 가능성과 한계 : 대학 미투 운동 분석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