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서문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직장인의 미투운동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18 .01
언론보도에 나타난 미투운동의 정량 담론분석: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22 .12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018 .08
백일 넘긴 미투 운동 보도…우리 언론성장했나?
관훈저널
2018 .06
미투 운동, 다시 한번 성폭력을 말하기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4
보고서 〈미투 시대의 저널리즘〉 : 미투(#MeToo) 7년, 언론의 새로운 시선과 여실히 가려진 실태
신문과방송
2024 .12
미투운동 관련 뉴스 확산의 특징_어뷰징으로 기사량 폭발할수록 ‘미투’ 핵심은 사라져
신문과방송
2018 .05
[일본] “나도 피해자”… 언론계에 부는 ‘미투 운동’
신문과방송
2018 .03
#미투 속의 언론, 언론 속의 #미투 - ‘2차 가해’ 행위 보도 멈추고 대안 담론 매개 역할 해야 하지만...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4
국내 미투운동의 형사사법학적 함의
한국경찰학회보
2018 .01
세대, 성차별, 권위주의 그리고 미투(#MeToo) : 개방형 문항을 통한 미투 운동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사회학
2021 .08
‘미투’ 운동의 매체 프레임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사건 보도와 실재의 재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2020 .06
미투 담론을 통해 바라본 시적 형상화
인문사회 21
2019 .01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언론정보학보
2020 .12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19 .06
미투보도 속 우리가 놓친 것: 한·미 보도 비교를 통해
언론중재
2018 .06
성폭력 피해 폭로 ‘미투’ 운동에 대한 국민 인식
미디어이슈
2018 .02
해외 언론에 나타나는 미투 운동의 명암
관훈저널
2018 .06
청년 여성들의 성평등 실천, 그 가능성과 한계 : 대학 미투 운동 분석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2022 .11
From “Me” to “Us,” and from “Me Too” to “With You”: Never Ending Voices of Chinese Women since Me Too Movement in 2018
현대중국연구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