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선우 (Keimyung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음운론학회 음성음운형태론연구 음성음운형태론연구 제25집 제1호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31 - 56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aspects of vowel harmony in Late Middle Korean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Since the 10th century, restructuring of the vowel system resulting from vowel shift brought about the diachronic declination of palatal vowel harmony between front and back vowels. Since the 15th century, vowel harmony in Korean has been in a steady decline. To examine the frequencies of vowel harmony from the 15th to the 16th century, I analyze a historical Korean corpu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Theory, measur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index of vowel harmony by means of the information-theoretic notions of positive logarithm and mutual information. Mutual information (MI) between the vowels in autosegmental tiers leads to three findings regarding vowel harmony in Late Middle Korean. First, the preference for harmonic positive vowels in the Korean vowel system is more effective than the preference for harmonic negative vowels. Second, if the preceding vowel is a diphthong beginning with a /w/ glide, there is little effect of vowel harmony in Middle Korean. Finally, the vowel harmony between monophthongs is more regular than that between diphthongs or triphthongs.

목차

1. 머리말
2. 선행연구 검토
3. 모음조화와 상호정보량
4. 코퍼스의 가공과 분석 과정
5. 15-16세기 모음조화의 분석결과
6. 맺음말
REFERENCES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11-000779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