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환영 받지 못 한 자’들의 공간적 실천과 재현
3. 생존의 경합, 소수에 대한 두려움
4. 유폐와 고립의 비장소 출현
5. 서울, 전회하는 공간과 소멸되는 장소의 유기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동포 밀집거주지역의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정책 현황과 개선 방안
재외한인연구
2021 .10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서울'의 이미지 연구- 손홍규 장편소설 『서울』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1950년대 후반 여성 작가 장편소설에 나타난 서울 장소성
통일인문학
2021 .12
귀환민들의 ‘국민-되기’ 열망과 괴리로서의 귀환서사 - 해방기 ‘귀환서사’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연구
2021 .01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현황 검토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박태순 소설과 1960년대 서울
현대소설연구
2015 .04
최정희 초기 소설에 나타난 ‘서울’ 스토리텔링 양상과 의미
한국문학논총
2018 .01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독립/해방’의 의미
현대소설연구
2023 .09
나의 첫 번째 서울
월간에세이
2018 .01
서울 외 1편
자음과모음
2023 .06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현황 검토」에 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수난의 서사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5 .02
강점기 여성 작가의 ‘서울’ 스토리텔링 방식 - 김명순・나혜석의 경우를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공간 접기
제3시대
2016 .09
서울의 민속문화 연구 및 활용 방안 모색
서울민속학
2015 .12
귀국전후: 북한문학의 ‘귀국자’서사 읽기 - 강귀미의 소설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23 .06
도시복합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 정보기술, 이동성에 따른 공간인지 변화의 관점에서
담론201
2015 .01
海外帰国者の日本語使用と言語管理-日本から帰国した在日済州人の事例を中心に-
언어학연구
2018 .01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과 수사적 특징
한국시학연구
2016 .02
The Return of the Returnee : A Historicized Reading of Adult Overseas Adoptees “Going Back” in South Korean Cinem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