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23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질료도 물체고 신도 물체다
3. 신은 어떻게 물체(sōma)인가?
4. 스토아 물체 이해에 대한 또 다른 고찰 : SVF 2.366 (Plutarchus, Conjugalia Praecepta cp. 34)
5. 능동 근원의 물체성(‘신은 물체이다’)이 갖는 함의 : 존재-물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스토아 존재론 분류 체계 -보편자 이론을 중심으로-
서양고전학연구
2022 .09
인지주의치료와 스토아철학
인간연구
2019 .07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에서 물체와 물체 아닌 것의 구분 기준
서양고전학연구
2018 .09
스피노자와 스토아 전통 ― 감정 이론을 중심으로 ―
인간연구
2020 .01
행복과 좋은 것들: 블라스토스의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스토아
철학연구
2017 .12
좋은 삶과 철학이 해야 할 일: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스토아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10
스토아 자연학에서 프네우마의 긴장 운동(tonikē kinēsis) 고찰
철학논집
2023 .02
니체에 있어서 스토아의 문제
철학논총
2019 .10
삶의 근원
숙명문학
2022 .11
[논평] 좋은 삶과 철학이 해야 할 일: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스토아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10
스토아학파와 초기불교의 욕망과 감정 이론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고대 그리스 의학과 초기 스토아 철학의 관계 : ‘프네우마(pneuma)’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논집
2024 .08
인성교육의 실천적 조건-스토아 철학의 '자기 배려’
윤리연구
2015 .09
좋은 삶과 대중을 위한 철학의 역할: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스토아
철학연구
2020 .12
헬레니즘 철학과 바울기독교의 비교: 플라톤적 이원론과 스토아적 자유의 정치철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16 .09
라이프니츠의 초기 철학에서 기계론과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철학탐구
2022 .11
1 Corinthians 15:35-58 : An Assessment of Stoic Interpretation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8 .07
스토아학파와 철학상담
철학연구
2019 .05
스토아철학 행복론의 철학상담적 함의: hegemonikon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2020 .01
Hylomorphism and the Grounding Problem
철학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