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조성시기의 검토
Ⅲ.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2018 .12
조선전기 석조불상 연구 - 편년과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
2017 .01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과 청석탑의 조성시기와 배경
동악미술사학
2017 .06
高麗前期 新樣式 石佛의 展開와 造成背景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9
중국 古代 약사여래 도상의 성립과 전개
미술사연구
2022 .06
白陶佛与脱佛考
미술자료
2016 .06
白陶佛과 脫佛에 대한 고찰
미술자료
2016 .06
곡성 堂洞里寺址의 고려시대 석조여래좌상 고찰
불교미술사학
2015 .01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편년과 의의
동악미술사학
2015 .06
Seeing the Buddha : Early Buddhist Images on the Indian Subcontinent
미술자료
2016 .06
見佛 - 인도아대륙의 초기 불교 造像
미술자료
2016 .06
樹黙 秦弘燮과 蕉雨 黃壽永의 금석문자료 연구와 의의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8 .09
高敞 禪雲寺 兜率庵 磨崖佛의 編年과 造成背景
동악미술사학
2015 .06
寶林寺 철조비로자나불상의 後援과 制作工程 연구
동악미술사학
2022 .12
高麗時代 佛腹藏의 形成과 意味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3
청주 비중리사지 석조불상 연구 : 조성 국가의 파악과 관련하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6 .09
「中國出土の高麗青磁 ― 新安沈船発見の高麗青磁の位置づけ」
미술자료
2016 .12
儀禮로 보는 藥師信仰의 내용과 성격
불교미술사학
2021 .10
불상 도금법의 전통 계승과 근대적 변화
미술사연구
2019 .06
불석제 불상의 조성과 이운을 통해 본 경상 지역 조선 후기 불상 조성의 일면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