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9
1. 들어가는 말
2. ‘국어의 사상’과 언어적 근대
3. 균질적 주체의 형성과 근대적 산문 문체 - 중립적 매체라는 신화
4. 무표화 되지 않는 변종들의 공존 – 《겨레말큰사전》에서의 남북 언어 통합
5. ‘국어문법’에서의 ‘국가연합’ 혹은 ‘연방제’라는 문제
6. 나가는 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토론문]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관하여 -《겨레말큰사전》의 경우”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2
20세기 이후 편찬된 우리말 사전의 사회적 기능 : 《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8
남북 통합 국어사전에서의 언어학 용어 처리 방안 연구 :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2
남북언어 정책 기관의 성격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검토 - 국립국어원과 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어문논총
2020 .02
≪겨레말큰사전≫과 통일국어교육 - 『초등 국어 저학년 우리말 틀』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04
[지금 이 사람]겨레의 언어 통합과 문학의 역사를 이끄는 인문주의자를 만나다 - 염무웅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이사장
새국어생활
2019 .12
인간적인 삶이 가능한 성숙한 사회를 위한 가치 탐구 : 김경동, 『사회적 가치: 문명론적 성찰과 비전』(푸른사상, 2019)
철학과 현실
2020 .06
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 능력 평가의 나아갈 길
새국어생활
2015 .09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 사전의 구축을 위한 번역 전략
새국어생활
2016 .00
국어 사전 용례의 전형성 분석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2
북한 국어교육에 대한 탈북국어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국어교육
2020 .01
대 사전
숙명문학
2018 .10
미디어는 이미 국어 수업에 있다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1 .07
사용자 참여형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이용 양상 분석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2
《겨레말큰사전》에서 조사?채집한 해외 교민의 한국어 유형-카자흐스탄 지역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2021 .01
국어교사, 미디어 교육을 만나다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1 .07
[함께 읽는 국어교육] 재미있고 자유로운 후기를 쓰고 싶어 :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4 봄호 독자 후기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4 .07
국어 국정교과서와 국어 이데올로기 - 각 시기별 국어 국정교과서 편찬의 역사를 중심으로 -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4
‘사용자 참여형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이용 양상 분석’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2
<국어기본법> 10년을 되돌아보면서
새국어생활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