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우리말 사전의 편찬 목적
3. 《겨레말큰사전》의 편찬 목적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세기 이후 편찬된 우리말 사전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8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관하여 :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2
『일본어에서 온 우리말 사전』의 특징과 남은 문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2
[토론문]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관하여 -《겨레말큰사전》의 경우”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2
대 사전
숙명문학
2018 .10
자연스런 우리말은?
번역하다
2022 .12
[문학 속 우리말] 꽃은 반만 핀 꽃이 아름답고, 복은 반 복이 좋다.
새국어생활
2019 .06
남북 통합 국어사전에서의 언어학 용어 처리 방안 연구 :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2
언어 사전 편찬과 어휘 유형론 연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9
인간을 위한 사전 vs. AI를 위한 사전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8
[지금 이 사람]겨레의 언어 통합과 문학의 역사를 이끄는 인문주의자를 만나다 - 염무웅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이사장
새국어생활
2019 .12
≪겨레말큰사전≫과 통일국어교육 - 『초등 국어 저학년 우리말 틀』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04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岸) 공동 사전 편찬 경험에 관한 연구 - <양안상용사전>과 <양안통용사전>을 중심으로 -
한국사전학
2019 .05
말뭉치 언어학과 사전 편찬 : 『연세한국어사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8
지식 포털과 온라인 사전 : 편찬 방법론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8
남북 전문용어 사전의 편찬 방향 연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8
「한글문화지식사전」의 편찬 현황과 과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2
남북언어 정책 기관의 성격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검토 - 국립국어원과 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어문논총
2020 .02
네이버사전의 신규 편찬 및 개정 방향성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2
[삶과 우리말] 긍정과 위로의 우리말
새국어생활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