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대구, 도시, 표상
2. 대구 인물과 대구의 이데올로기 표상체계
3. 장소 혹은 공간, 대구의 일상적 표상체계
4. 대구, 도시, 소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일병합’ 이전 대구의 일본인거류민단과 식민도시화
한국학논집
2015 .06
근대 대구 여성의 생활사를 복원하다(대구여성가족재단 엮음, 2014, 대구, 섬유 그리고 여성, 대구여성가족재단)
여성과역사
2015 .01
5·18 소설의 젠더 표상 연구
여성문학연구
2020 .01
사회 단평집을 통한 집단기억 확장의 가능성 고찰 -이목우의 『시대풍』을 통해 바라본 한국전쟁기 대구와 민중의 모습-
비평문학
2022 .06
18세기 감영도시 대구와 낙동강 중류지역의 역사공간적 특징
한국학논집
2021 .12
대구에서 전태일을 기억하는 공간을 가진다는 것
푸른사상
2022 .12
전시 대구 다방의 장소적 의의 - 향촌동 일대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
2018 .08
지역문학의 주체적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 근대 대구문학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2019 .01
지난해 여름, 대구에서
월간에세이
2019 .03
1930년대 중국현대소설과 영화에 나타난 청년표상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08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의 시가지계획과 군사기지화 정책
영남학
2021 .09
대구권 성리학과 의병활동
철학논총
2015 .01
[소설] 아물지 않아, 아려, 아직도
문학들
2022 .08
[소설] 우리가 우리였던
황해문화
2021 .06
소설론은 움직인다
자음과모음
2023 .06
적이 없는 소설들
자음과모음
2022 .12
[소설] 미애
황해문화
2021 .03
소설을 기다리다
월간에세이
2018 .03
[소설] 못 한 일
황해문화
2022 .06
이것은 내가 쓴 소설이 아니다
자음과모음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