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성영조 (경기연구원) 김점산 (경기연구원) 송승현 (경기연구원) 김서정 (경기연구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정책연구 2018-42]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
발행연도
2018.9
수록면
1 - 153 (15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haring Economy" of Gyeonggi-Do and to suggest a method to designate Sharing Econom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ccording to a survey in this study, while the perception rate of "Sharing Economy" slightly increased compared to 2016,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experienced it more than doubled. It means that a lot of Gyeonggi-Do residents have been experiencing "Sharing Economy" and that government"s active policies are needed to activate it.
When designating Gyeonggi-Do "Sharing Econom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t is important to choose organizations or companies that have a lot of "Sharing Economy" experience and that have good shared model and shared valu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need to give the right to use "Sharing Economy" BI(Brand Identity) of Gyeonggi-Do to designate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o promote "Sharing Economy" activities. It should support them to use the publicity channel of Gyeonggi-Do"s "Sharing Economy" website or related organizations. It should also provide the opportunity to cooperate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in local or provincial government when designate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need support.
The "Sharing Economy" policy of Gyeonggi-Do should be approach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ield rather than one way support. Th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Sharing Economy" in Gyeonggi-Do should b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operate a "Sharing Economy" platform. Second,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continuously promote projects to find and raise "Sharing Econom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ird, it should provide support and incentives to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haring Economy".
Finally, to build a "Sharing Economy" ecosystem in Gyeonggi-Do should be the goal of the government policies.

목차

[표지]
[정책건의]
[차례]
표 차례
그림 차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제2장 공유경제의 개요 및 도내 단체·기업 현황]
1. 공유경제의 개념 및 범위
2. 경기도 공유경제 사업 및 관련 단체·기업 현황
[제3장 공유경제 사례 및 경기도민 설문조사]
1. 시도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 사례
2. 경기도민 설문조사
[제4장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
1. 경기도 공유경제 정책 방향
2.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 방안
3. 경기도민이 바라는 주요 공유경제 서비스 분석
4. 경기도 공유단체, 공유기업 활성화 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09-000440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