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반정화 (시민경제연구실) 박윤정 (시민경제연구실)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연 2014-PR-48] 서울시 공유경제 활성화방안
발행연도
2015.7
수록면
1 - 106 (10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plan to revitalize the “share economy”,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rough reasonable consumption. As one of the solutions to urban problems, Seoul City established "Share City Seoul” and wants to solve various social issues it faces through the sharing economy.
The sharing economy concept indicates a new way of economic activity to share (or lend) extra resources that individuals have, such as items, knowledge, space, and experience with others online.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sharing economic activity is not to maximize profits, but to create social values like resource saving, environmental protection, community sense, regional economy revitalisation, and to get proper profits.
The sharing economy is welcomed as an alternative, innovative economic system, but there are also worries. As the size of the sharing economy becomes larger, conflicts with existing business areas are occurring. Particularly in case of evidently promoted existing businesses such as car sharing, accommodation or tourist guides, it has become a greater social issue.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consciousness about the sharing economy spreads, this does not create correct awareness, because economic benefits still have priority. In the case of Seoul citizens, they prefer to share aptitudes such as knowledge or experience in diverse fields with others. Especially participation with a lot of interest in tourism areas is increasing.
To activate the sharing economy,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citizens’ awareness. Above all, the concept of a right sharing economy must be spread. Next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review the issue of friction between the sharing economy and existing businesses for improvement. Seoul City should support this and provide a place where we can concern ourselves with what to share in new fields.

목차

[표지]
[요약]
공유경제, 합리적 소비로 글로벌 경제위기·도시문제 해법으로 등장
공유경제의 최우선 목적은 이윤 극대화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
공유경제, 불법 기준 매우 모호… 걸맞은 새 문화·제도 마련 시급
서울시, 공유촉진 조례 제정·개정 등으로 공유경제 활성화에 앞장
서울시민의 공유이용·인지도 확산… 아직까진 경제적 이득 목적 커
공유 관련 법제도 개선은 공유기업·기존법규 문제와 함께 검토 필요
서울시, 공유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게 차별화방안 마련해야
[목차]

그림
[01 연구개요]
1_연구배경
2_연구목적
3_연구내용
[02 공유경제의 등장과 관광]
1_공유경제의
2_관광과 공유경제
3_공유경제의 확산 사례
[03 서울시 공유경제 현황]
1_공유서울 관련 사업 추진 현황
2_서울시민의 공유경제 인지도
[04 서울시 공유 숙박시설의 주요 쟁점]
1_공유경제 관광분야 이용 실태
2_서울시 숙박 공유 현황: 에어비앤비(AirBnB) 사례
3_해외 도시 공유 숙박시설 합법화 기준 사례
4_공유경제 활성화에 대한 주요 쟁점
[0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_공유경제의 확산 트렌드
2_올바른 공유 인식을 통한 공유서울의 확산
3_공유경제 기업의 통제와 관리
[참고문헌]
[Abstract]
[Conten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59-001538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