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李九義 (慶北大學校)
저널정보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東亞人文學 第45輯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129 - 158 (30page)
DOI
10.52639/JEAH.2018.12.45.12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논문은 이상의 〈오감도〉를 ≪주역≫의 상수학 이론에 적용시켜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오감도(烏瞰圖)〉에 나오는 오감(烏瞰)의 의미는, ‘어찌 볼 수 있는가?’ 또는 ‘무엇이 보이는가?’라는 뜻이다. 이는 곧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시 제목을 〈오감도〉라 한 것은 현재 자아가 처한 상황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암시한다.
〈오감도〉는 제1호로 시작하여 제15호로 끝맺고 있다. 이 숫자를 통하여 자아가 정명(正名)을 주장하고 있다. 세상이 혼란할수록 사람들이 자신의 분수를 지켜야 하고, 자신의 분수에 맞게 행동하여야 한다. 그가 〈오감도〉 시를 제1에서 제10까지를 한 연으로 제11에서 제13까지를 한 연으로 한 것은 질서와 조화가 공존하는 세계를 바라고 있는 것을 뜻한다. 아해(兒孩) 울음에서의 아해는 어리석은 백성을 가리키고, 울음은 고통스러운 현실세계를 의미한다. 현재 백성들이 어리석어 고통을 받고 있지만, 이 어리석음을 깨트리면 밝은 미래가 오리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시제4호에서, 첫째 숫자가 거꾸로 되어 있는 것은 자아가 세상을 보는 관점을 표현한 것이다. 둘째 •이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숫자를 분리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자아가 드러내고자 한 것은 그가 바라는 세상이 혼란한 세계가 아니라 질서정연한 세계라는 나타낸 것이다. 셋째 진단 0 • 1은 곧 자아의 무한한 포부 또는 희망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자아가 26 • 10과 1931등의 숫자를 통하여 자신이 소원을 비사(秘辭)하고 있다. 자아 자신의 희망을 숫자 안에 담고 있다. 그가 바라는 세계가 만민(萬民)이 질서 있고 공평한 세상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 숫자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오감도〉는 자아 자신이 처한 현실세계와 그가 바라는 이상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烏瞰圖에서 烏의 의미
Ⅲ. 작은 제목에 나타난 숫자
Ⅳ. 시제1호에서 象數의 의미
Ⅴ. 시제4호에 나타난 象數
Ⅵ.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