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여류문학전집’의 출판 배경 1960~70년대 출판 문화와 독자층의 특징
3. 여성지의 ‘문학’ 활용 방식 - 『여원』, 『여상』을 중심으로
4. 문학 장에서 여성지의 위치 ‘저널리스트적 작가’와 대중성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극적으로 아름다워야 한다는 조건 - 1990년대 여성문학의 제도 문학 편입 맥락과 그 과정
현대소설연구
2021 .09
미래 사회의 글쓰기와 문학, 혹은 문학교육
국제언어문학
2018 .12
1980년대 여성학‧여성운동계 출판물과 여성지의 교착(交錯)
민족문학사연구
2022 .04
1970년대 여성문학 ?여성전업작가의 등장과 다양한 글쓰기 주체의 성장?
개념과 소통
2020 .01
문학의 밤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다음 책도 문학이기를
번역하다
2022 .03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지나치게 문학적인
번역하다
2022 .04
한국전쟁기 남북한 문학담론 기원 연구
비평문학
2019 .09
1970년대 출판시장의 변동과 문단의 재편-문학과지성사를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18 .01
한국문학의 러시아어 번역서에 대한 독자 인식 연구 : 러시아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을 기반으로
노어노문학
2019 .06
전근대 일본 상업 출판문화와 여성 독자 ― 대여 서적과 부인병 약,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
건지인문학
2021 .10
21세기 한국의 중국 고전여성문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그리고 전망
중국문학
2022 .08
1960~70년대 ‘여류시’의 특징과 그 의미 변화 -『한국여류문학전집』을 중심으로-
어문론총
2018 .12
문학출판 지원 제도의 변화와 그 의미, 1969~2019
문학들
2019 .05
근대적 글쓰기 공간으로서 여성 잡지 : 근대 초기 여성 잡지의 실태와 양상 조사
한국근대문학연구
2018 .04
1960∼70년대 여성 시의 정전화 과정과 ‘센티멘털리즘’의 문제: 『한국여류문학전집』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