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무형문화유산과 설화연구방법론
2. 전통서당 조사 사업과 구전전통 및 표현
3. 서당설화의 구조와 전승의 의미
4. ‘설화’를 활용한 무형유산적 가치 제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6~18세기 문경 近嵒書院의 변천-조선후기 서원 변천의 한 사례-
영남학
2019 .01
설화의 국가무형유산 종목 지정을 위한 제언
구비문학연구
2024 .09
무형문화재 ‘구전전통 및 표현’ 종목으로서의 설화연구 가능성 모색
구비문학연구
2018 .01
『南遷日錄』의 문화적 의미 -落魄의 기록, 文化가 되다.-
동양한문학연구
2017 .10
16세기 李潛 부자의 서당운영과 강학활동
古文書硏究
2021 .01
小訥 盧相稷의 禮學과 『常體便覽』
한국실학연구
2021 .01
소눌 노상직의 서당교육과 서당교육자료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 소눌문고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022 .06
국가무형유산 범주로서의 '구전 전통 및 표현'에 대한 검토와 적용
구비문학연구
2024 .09
서당학동이 읽은 필사본 ‘용례집(用例集)’의 내용과 특징
韓國古典硏究
2016 .01
민속학연구와 무형유산연구, 그 차이와 특징-전통농업을 중심으로-
무형유산
2020 .01
17세기 忠淸道 沃川 資風書堂의 운영과 인적구성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1 .11
<도산서당>과 <도산십이곡>·<성학십도>의 ‘志·學’ 구조가 갖는 인지적 상관성 試論
퇴계학논집
2021 .01
한국 고대의 교육적 기초와 지방 교육의 흔적
전북사학
2021 .01
西堂 李德壽의 詩論과 文章論의 再檢討
동양고전연구
2021 .12
난생설화 외 1편
문학들
2017 .08
북한과 중국의 설화 분야 비물질문화유산 지정 현황과 시사점
구비문학연구
2024 .09
퇴계 이황의 도산서당 시에 나타난 공간감성과 그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2022 .10
조선후기에 서당 학동들이 읽은 탄원서
古文書硏究
2016 .01
무형유산 아카이브의 저작권 쟁점에 관한논의 경과와 향후 과제
무형유산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