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의 증가에 따른 생리학적 기능의 감소는 일상 스트레스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고, 이는 노쇠함이란 개념으로 특징 지워진다. 노쇠함이란 노인병학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도 감소, 낙상, 체력저하, 의기소침, 및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령증가에 따른 근감소증 비만인에게 나타나는 면역력의 감소기전 제시와 운동활동의 예방 및 치료효과에 관한 최근 10여년간 이 분야에서 수행된 최신 선행연구결과들을 펍메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여 많은 자료를 수집한 후 연구주제에 맞게 저자의 실험연구 등을 바탕으로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론에서는 주제1에서 연령증가에 따라 근 감소증 비만인에게 나타나는 면역력의 저하와 주제2에서는 근감소증 비만인의 운동효과에 대해 분석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의 증가에 따른 근감소증 비만은 골밀도를 감소시켜, 골다공증을 유발하게 되고 이는 악액질, 당뇨병, 심장질환, 만성 폐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골다공증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아울러 면역세포의 노화를 야기하며 면역노화는 노년기에 있어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균형이 깨어지므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인플라메이징 이라는 개념으로 불리운다. 이는 노화기에 나타나는 만성적인 항원의 자극으로 발생되며, 활성산소나 독성물질 등으로 야기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면역노화가 운동을 통하여 T 세포의 노쇠화를 회복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규칙적인 운동은 감소되고 있는 T 아형 세포수의 증가를 일으키고, T 세포의 유사분열촉진 반응에서 분열반응의 회복을 확인 하였다. 아울러 면역력의 척도인 CD4: CD8의 비율을 1이하로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림프구의 면역 감시력의 증가를 통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악성종양의 변형을 잘 처리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면역력의 증가는 규칙적인 운동이 항염증작용을 일으킨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면역력과 염증반응이 원인이 되는 질병율을 낮추기 때문이라는 이론이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노년에 맞게 운동강도를 높이는 것 보다는 꾸준한 운동지속력에 무게를 두고 있다. 추후 근감소증 노인 비만에 맞는 최적의 운동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와 노인 질환별 운동의 효과에 관한 기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on physiological,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metabolic rate, bone and muscle function and immune response in elderly sarcopenic obesity. In this purpose, we searched Pubmed data base for the experimental papers include review papers having the terms ‘sarcopenic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elderly’ in the title, published from 2005 until 2018. A total over 120 research papers displayed, out of which almost 30 research papers were exactly relevant to this research project. In this paper, we evaluated and analyzed two main topics such as sarcopenic obesity syndrome an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on sarcopenic obesity related diseases and immune responses. Apoptosis plays a central role in old age, a period in which the ability of can change. The incr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s associated with the neuronal function, dementia, sarcopenia, syndrome X disease and immune dysfunction. Osteosarcopenia is also associated with significant physical disability, meaning a threat to the loss of independence. Therefore, through moderate physical activity, the modulation of apoptosis process and immune function can be beneficial effects to reduce aging process as well as inflammation, immune dysfunction. From the results, regular physical activity might exerts an anti-immunosenescence effects, means delaying the immunological aging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lymphocyte immune-surveillance, therefore lymphocytes search tissues for antigens from bacteria, virus or even can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