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I. 들어가는 말
II. 천리명각: 지각과 양지
III. 시비지심: 자연과 계구
IV.적자지심: 원융영철과 진성측달
V.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왕양명 치양지 공부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주자의 성본체론과 대비하여 -
동양철학
2017 .12
구양덕의 입지 공부론 고찰 ― 철저하되 평이한 치양지 공부론 ―
동양철학연구
2023 .02
치양지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양명학
2023 .03
趙執信의 詩 고찰
중국어문학
2020 .01
양명심학의 3대 강령
동양고전연구
2016 .01
『鼎峙春秋』 속 諸葛亮 사적(事迹)과 이미지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8 .10
왕양명 심즉리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동양철학
2019 .01
당과 백제 불교 교류에 대한 고찰
백제연구
2024 .02
劉勰이 제기한 “嵇志淸峻”에 대한 再考察
동양학
2019 .01
『資治通鑑』의 역사 서술과 北宋 중엽의 정계
韓國史學史學報
2017 .01
青铜觯的分期和年代
동양고전연구
2015 .01
『明燈道古錄』小考 : 李贄의 學庸讀法
중어중문학
2016 .06
시비지심의 이성적 성격에 대하여 ―지(知)개념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2022 .08
주희(朱熹) 지각론(知覺論)과의 비교를 통해 본 김창협 지각론(知覺論)의 특징
한국철학논집
2017 .02
<成之聞之> 譯註 — 君子 교화론 - 天常과의 조화로운 합일
중국어문논총
2024 .04
서학의 수용과 ‘격치’에 대한 인식: 상하이격치서원의 ‘고과(考課)’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8 .01
『속자치통감』 역주의 의미
韓國史學史學報
2018 .01
南朝時期 불교문화와 불교류 志怪小說‒『幽明錄』, 『宣驗記』를 중심으로‒
동양학
2018 .01
주자와 왕양명 공부론 비교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海国图志》与魏源的海洋认识
중국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