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안병걸 (안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국학연구 제35집
발행연도
2018.3
수록면
155 - 188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안동의 하회마을 풍산류씨 문중이 이룩한 가학 전통의 전개를 조사한 것이다. 이 문중은 고려 후기에 향리鄕吏에서 사족士族으로 신분이 바뀌었고, 조선 초기를 지나면서 안동의 유망한 양반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16세기를 살았던 입암立巖 류중영柳仲郢은 평생을 관료로 살았다. 목민관으로서 그는 가는 곳마다 유학적 향풍 조성과 학생들의 교육에 큰 힘을 기울였다. 그 때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에게 자문을 구하고 실행하였던 것을 그의 글을 통하여 확인된다. 특히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두 아들을 이황에게 보내어 뒷날 위대한 학자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하여 류중영은 이 가문의 학문, 가학家學의 문호門戶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류중영의 장자, 류운룡은 이황의 충실한 제자였다. 16년간 그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은 그는 스승의 별세 뒤에는 유업을 계승하는 일에 열중하였다. 즉 도산서원陶山書院의 건립과 『퇴계집退溪集』·『이학통록理學通錄』 간행 사업에 매진하였던 것이다. 류운룡은 특히 부친 류중영과 그 선조들의 사적을 정리하여 저술로 남겼다. 이를 통하여 하회의 풍산류씨가 이 문중의 중심적 위치를 갖게 된 것이고, 류씨의 가학이 그를 통하여 반석에 섰다고 말할 수 있다.
류성룡은 조선시대의 역사에 큰 공적을 남긴 위인이다. 이 글은 그 중에도 퇴계학의 계승자로서 류성룡의 업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는 퇴계의 유업을 계승하였고, 문하에 우뚝한 제자들을 양성하여 퇴계학을 후대에 전한 공로가 매우 크다. 류성룡의 학문은 풍산류씨의 범위를 넘어서 영남학파의 주요한 학통을 이루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풍산류씨의 입장에서 말하면, 류성룡의 성취를 통하여 풍산류씨 가학이 조선시대의 중추적 학문으로 확장하게 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류중영 3부자 이후 하회의 풍산류씨는 문인달사聞人達士들이 끊임없이 배출되었다. 그들이 이룬 학문 세계와 역사적 실천을 이 글을 이어서 계속 탐구할 것이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류중영 가문의 조상들
3. 류중영의 문호 수립
4. 류운룡, 류성룡의 퇴계학 계승과 가문 현창
5. 맺음말 : 하회 풍산류씨 가학의 계승과 학문적 특징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