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설
Ⅱ. 북한인권법의 주요 내용 및 운영 실태
Ⅲ. 북한인권법의 개선방향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s
헌법재판소 1991. 7. 22. 선고 89헌가106 全員裁判部
가. 헌법(憲法) 제31조 제6항은 국민(國民)의 교육(敎育)을 받을 기본적(基本的) 권리(權利)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교원(敎員)의 보수(報酬) 및 근무조건(勤務條件) 등을 포함하는 개념인 “교원(敎員)의 지위(地位)”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법률(法律)로써 정하도록 한 것이므로 교원(敎員)의 지위(地位)에 관련된 사항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인권법 제정 이후 인권정책의 방향과 실천과제
세계지역연구논총
2016 .01
북한인권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Ⅰ) : 북한 인권침해사례 수집ㆍ기록 기구의 일원화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7 .09
한국의 북한인권법에 관한 소고
법학논총
2016 .07
북한인권법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
2017 .12
북한인권 관련 국내외 대응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동북아법연구
2017 .01
The Effectiveness of South Korean NGOs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Human Rights: Contribution on Enact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2016
세계지역연구논총
2017 .01
북한 인권 문제의 현황과 전망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정을 계기로 -
민주법학
2015 .03
북한인권 문제의 체계적 접근
초등도덕교육
2015 .01
북한인권법과 통일과의 관계에 대한 전략적 접근
동아법학
2015 .02
북한인권 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윤리교육연구
2015 .01
북한 인권실태에 대한 유엔의 활동과 한국의 역할
한국동북아논총
2018 .06
북한 인권담론에 관한 이해와 우리의 현실적인 제반과제
아시아연구
2021 .02
북한인권문제와 인도적 개입 : 아시아 지역인권체제 구축을 위한 논의를 중심으로
서강법률논총
2017 .08
북한 인권 문제의 정치사적 의미: 인권 및 반공 담론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015 .01
미국의 북한인권 관련 법령 고찰 - 바이든 시대의 북한인권 관점에서 -
외법논집
2022 .08
한반도에서 인권과 평화 : 북한인권법 제정을 둘러싼 논쟁과 그 의미
문화와 정치
2019 .12
한국정부의 북한인권 문제 제기에 대한 개인 태도 결정요인, 2009-2018
평화학연구
2020 .06
북한인권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북한주민의 헌법정책적 보호의 관점에서
북한법연구
2024 .06
북한인권과 한반도 인권체제 : 보편과 특수, 가치와 현실의 결합
다문화사회연구
2016 .08
윤석열 정부의 대북 인권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민주법학
2024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