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집단기억의 공유와 정체성 만들기
3. 집단기억과 거리두기 : 망각과 자기화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억의 층위 ― 뇌-영혼-몸 사유의 다학제적 연구의 가능성
신학사상
2024 .06
역사의식의 사회적 확장으로서 뤼젠의 역사문화 -기억문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2024 .06
Collective Memory and Collective Burials: Iron Age Chamber Tombs in Jerusalem and the Kingdom of Judah as Mnemonic Devices
인문논총
2024 .02
집합 기억과 기독교 윤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7 .10
Come From Away에서 외부의 집단기억을 통해 회고된 9/11
현대영미드라마
2021 .04
기억의 무대화와 퍼포먼스 방식- 브라이언 프리엘(Brian Friel)의 작품에 나타난 개인 기억과 집단 기억을 중심으로
영어권문화연구
2017 .01
국가의 기억과 국민의 기억 사이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상설전시에 대한 단상
역사비평
2021 .02
나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독일 기억문화의 유형과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기억문화
유라시아연구
2020 .01
Reconstruction of Locality - A Study of Hong Kong’s plays in the 1980s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21 .11
‘기억의 장소’ 또는 ‘망각의 장소’
사림
2016 .01
记忆与身份认同的文学演示――1960年代韩国华人华文小说研究
중국학
2021 .12
Collective Memory as Reflected in the Popular Historical Novels and Culture of Korea: The Debate on Jo Jeong-rae’s Arirang
Korea Journal
2023 .06
Constructed Memory in Chinese Cinema: Narrating Emotion in Red Sorghum and In the Heat of the Sun
외국학연구
2020 .01
기억의 경쟁에서 기억의 연대로? : 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
역사비평
2015 .11
역사의 과잉과 기억의 부재: 니체의 '조형력'에 대해서
서양사론
2020 .01
‘5․18광주민주화운동’과 ‘기억’의 방식 : 문순태의 5·18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5 .04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치매서사의 탐구
영미문화
2017 .01
5.18 기억과 구술사: 기억공동체에서 기록공동체로
구술사연구
2021 .09
이미륵 문학에 나타난 집단적 기억의 공유로서의 고향
국어문학
2020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