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들어가는 말
Ⅰ. 사무엘하 7장에 나타난 다윗 언약의 의미
Ⅱ. 다윗 언약의 직접적 수혜 대상
Ⅲ. 이사야 55장과 다윗 언약의 대중화
Ⅳ. 다윗 언약의 은혜가 대중에게 ‘전이’된 것인가 ‘확대’된 것인가? : 다윗적 메시야 사상의 영향사
Ⅴ. 이사야 55장 1-5절의 영향사
Ⅵ. 결론적 요약
Ⅶ. 다윗 언약의 대중화가 교회/그리스도인들에게 미치는 함의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Abstract의 한글 번역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편 132편과 다윗 언약
개신논집
2006 .11
시 144편에 나타난 다윗 왕권과 그 신학적 함의
구약논단
2010 .12
시편 89편과 이사야 55장의 상관성 연구 : 다윗 언약을 중심으로
Canon&Culture
2016 .04
타락 전 언약의 주제들 : 사무엘 루더포드의 『생명언약』 : (The Covenant of Life Opened, 1655)을 중심으로
신학정론
2018 .06
개혁파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처에게서 구약과 신약의 관계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0 .09
언약으로서의 결혼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기독교사회윤리
2005 .01
[권두언] 기독교회의 흥망성쇠
신학지남
2015 .12
A Study of Church Growth from Biblical and Missiological Perspectives : An Emphasis on Christian Education for Healthy Church Growth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007 .04
옛 언약과 새 언약
개신논집
2015 .09
19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에서 무슬림 집단 감정의 부상 : 1850년대에서 18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6 .09
Christian Church and Sects in Korea
Korea Journal
1965 .09
제왕시의 전략적 위치에서 본 시 89편 : 다윗 언약은 실패한 언약인가?
구약논단
2009 .06
Recovering the Role of Learning in the Korean Church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008 .10
지도자의 통치원리로서의 ‘공의와 의’ (משפט וצדקה) : 세월호 참사에 대한 언약신학적 반추
신학지남
2014 .06
신명기역사가의 관점에서 본 다윗언약과 메시아
대학과 선교
201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