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나나』: 이희영 장편소설, 창비
창비어린이
2021 .12
매일의 오늘 동안 걷다가 그만 극장을 사버림 : 박솔뫼, 『우리의 사람들』(창비, 2021)
자음과모음
2021 .06
전통주의와 도덕주의 - 유성호 평론가의 『서정의 건축술』(창비, 2019)을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19 .09
교실 연극의 앵프라맹스(inframince); 미묘한 차이 드러내기 - 천효정 외, 『교사를 위한 어린이 연극 수업』(창비,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0 .06
생명, 영혼 또는 타율성 — 이철호, 『영혼의 계보:20세기 한국문학사와 생명담론』(창비, 2013) —
개념과 소통
2015 .01
기억의 윤리, 혹은 트라우마에 머물기 : 전성태, 『두번의 자화상』(창비, 2015)
자음과모음
2015 .06
서사의 향락, 혹은 신 없는 세계의 두려움과 떨림 : 윤이형, 『러브 레플리카』(문학동네, 2016) + 최정화, 『지극히 내성적인』(창비, 2016)
자음과모음
2016 .06
아이돌과 팬, 순간의 광채를 살아가는 사람들 : 조우리, 『라스트 러브』(창비, 2019)
자음과모음
2022 .03
『개벽의 사상사』(창비, 2022)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6
읽고 쓰는 자의 오답노트, 그 미래형 질문지 −이충일 서평집 『통증의 맛』(창비, 2019)을 읽고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12
악마화의 위험성을 경계하다 : 도널드 P. 그레그, 『역사의 파편들』(창비, 2015)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9
빛을 향해 나아가기 ― 조온윤, 『햇볕 쬐기』(창비, 2022)
청색종이
2022 .06
고유명사로서의 소설 : 황정은, 『계속해보겠습니다』(창비,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표명희 장편소설 『버샤』 창비 2023 : 나는 있습니다, 그리고 없습니다
창비어린이
2023 .06
『마령의 세계』: 최상희 장편소설, 창비
창비어린이
2021 .12
『곁에 있다는 것』: 김중미 장편소설, 창비
창비어린이
2021 .12
천선란 장편소설 『나인』 창비 2021 : 죽은 땅에서 피어난 이야기
창비어린이
2022 .03
단요 장편소설 『다이브』 창비 2022 : ‘그래서’는 다음을 담은 말
창비어린이
2022 .09
이야기가 항로를 벗어날 때 : 이현 장편소설 『라이프 재킷』 창비 2024
창비어린이
2024 .09
[이희영 장편소설 『나나』 창비 2021] 영혼 없이 살아도 괜찮겠어?
창비어린이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