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무이(武夷)와 주희의 생활세계
3. 정신적 방황과 사상적 모색
4. 「무이도가」와 조선 도학자의 반응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華西學脈 인물들의 音樂의 暗誦 歌唱性에 대한認識과 九曲詩歌
열상고전연구
2018 .01
用夏九曲과 毅堂 門人 - 李元雨?梁在明?柳芝赫을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
2021 .01
蔡??及其“?恨”思想 - 以《紫玉?》?主兼?《琵琶重光?》
한중언어문화연구
2021 .01
崑曲『十五貫』서사의 변용 양상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2015 .12
순천 초연정의 문화사적 의의 고찰
남도문화연구
2021 .08
만화가 고바야시 요시노리의 쇼와 천황에 대한 인식
일본문화연구
2024 .01
「최고의 양명학자 이이곡(最高の陽明學者李二曲)」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도산십이곡>의 자연 인식과 자기 의식
시조학논총
2024 .09
姜龍夏의 尊華意識과 「華山十二曲」**
南冥學硏究
2018 .01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관한 불교상담적 접근: 불교에서의 고향의식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21 .12
朱子九曲棹歌仙道意蕴及对韩国九曲歌系的影响
안동학
2019 .12
明代 楊亘의 <<武夷志>>가 조선에 끼친 영향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5 .01
대피소의 문학, 곡(曲)의 동학
문화과학
2019 .09
근대소설의 한계와 파탄 : 루쉰의 ‘곡필(曲筆)’과 ‘유활(油滑)’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1
慶州地區的九曲歌研究 : 九曲的設定過程為中心
국제언어문학
2017 .12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会話文から見た「だろう」の働き
일본어문학
2015 .01
한국문학에 나타난 ‘독락(獨樂)’의 의미 : 조선조 이언적 · 권호문 · 박인로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016 .04
의당 박세화의 한시에 대한 일면모- 용하동, 용하구곡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9 .01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한국언어문학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