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만주지역의 적석형 고인돌
Ⅲ. 한반도지역의 적석형 고인돌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소재 고구려 고분 전개의 역사적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고구려 초기 적석묘의 분포 양상과 축조방식에 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의 구조와 성격
고고학
2021 .08
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한국고고학보
2018 .01
고구려 적석총 군집묘 축조와 혼계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4 .09
중국 요동반도 남부 선사시대 적석분의 고고학적 검토
한국고고학보
2024 .09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고고학
2021 .12
積石木槨墓 出現期의 樣相
한국상고사학보
2024 .05
우하량 유적 적석총의 축조 목적 再考
동양학
2020 .01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대구 구암동고분의 구조와 특징
야외고고학
2022 .03
서악동 왕릉군의 묘제에 관하여
신라사학보
2024 .08
신라 적석목곽묘의 조영 양상과 권력구조의 변동
역사와현실
2017 .12
영산강유역 원형분의 출현 배경과 의미
야외고고학
2018 .01
가야의 왕릉급 고분에 대한 역사적 해석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최근 자료로 본 중국소재 고구려 적석총의 몇 가지 구조 검토
역사문화연구
2017 .01
마한·백제권 고분과 합천 삼가고분군 다곽식고분의 비교 -전남지역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21 .01
연접묘를 통해 본 고구려 적석총의 전개 과정
중앙고고연구
2020 .01
만발발자 유적 분묘로 본 고구려 적석총의 출현에 대한 논의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