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재윤 (공주대)
저널정보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연구 高句麗渤海硏究 第59輯
발행연도
2017.11
수록면
65 - 90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세계유산에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을 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 전략과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통하여 여러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대부분 매장문화재이기 때문에 세계유산의 가치를 입증하는 데 어려워 유적의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백제의 지리적 · 정치적 환경은 중국의 발달한 선진문물과 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입하여 국가체제를 정비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도록 하였으며, 백제화된 문물과 제도를 주변나라에 전파해줌으로써 백제의 지원 세력으로 삼고자 하였다. 백제를 통하여 고대 동아시아 공유문화가 형성되었고, 이는 백제유적지구가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중요한 가치를 지녔다는 점을 창출해준다. 아울러 독특한 백제문화를 창조함으로써 다른 나라의 문화와 구별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입증해준다. 이처럼 공산성, 송산리고분군,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부여나성, 정림사지, 능산리고분군, 미륵사지, 왕궁리유적은 세계유산에 등재됨으로써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다음으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는 한국 고대사에서 백제문화의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삼국문화의 발전과 통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학술적 뒷받침을 통해 그 가치를 창출하였다는 점은 남다르다 할 수 있다. 또한 백제역사유적지구는 각 주제별, 지역별 발전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시대적 · 공간적 변화의 의미도 크다. 무엇보다도 한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가 치열한 역사문화전쟁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 백제문화는 진정한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모델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활용한다면 현재에 더욱 그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고 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은 먼저, 지역 조건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다음으로 지역 사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고도보존육성사업과의 연계는 바람직하며, 최근 추진되고 있는 백제왕도 핵심유적 복원 · 정비는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문화제 등 지역 축제와의 결합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3개 지역의 공통점인 금강을 매개로 여러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스토리텔링 기법의 도입도 3개 지역에 걸쳐 있는 백제역사유적지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주제별 유적 답사는 그 좋은 대안이다. 관람층을 구별한 차별화된 체험과 스토리텔링 기법은 다른 곳과 차별화된 전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IT 기술을 접목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도입은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포켓몬고와 같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백제GO’는 백제역사유적지구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정보를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이다. 공산성과 무령왕릉을 가상현실로 재현하는 것도 관람객의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다. 무령왕릉과 연계된 백제 체험촌을 만든다면 백제문화의 체험과 활용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 전략과 의미
Ⅲ.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 방안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