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 전략과 의미
Ⅲ.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 방안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복식 재현 연구
인문콘텐츠
2016 .06
일본 속 백제 유물의 범위와 의미
백제문화
2015 .08
고도 익산 백제문화유산의 활용 방안
마한백제문화
2015 .01
포스터를 통해 바라본 백제문화제 -최근 10여 년을 중심으로-
人文科學硏究
2023 .02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이후의 문제
마한백제문화
2015 .01
통일에서 분열로 : 후백제의 성립 배경과 관련하여
신라사학보
2018 .04
2018년 경기·호서지역 백제 고고학 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보
2019 .01
640년대 전반 ‘麗濟連和’의 실상과 唐의 백제 인식
사학연구
2021 .03
‘대백제’ 스토리텔링을 통한 충남의 정치⋅문화적 지평 확대
온지논총
2017 .01
백제의 ‘전북지역’ 진출 과정과 추이 변화
전북사학
2020 .01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신라사학보
2018 .04
백제 서남부지역 최근 고고학적 조사 현황과 과제
백제연구
2023 .02
중국 학계의 백제사 연구 동향
동북아역사논총
2018 .06
백제 국제관계사 연구동향과 시기구분 시론
백제학보
2015 .01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s of the World Heritage Inscription of the Gyeongju Historic Areas and Baekje Historic Area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12
웅진기 백제와 왜국의 교류
한국고대사연구
2024 .09
백제 의복 고유양식의 성립과 변화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현황과 전망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2020년 호서지역 마한· 백제 고고학 조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백제학보
2021 .08
후백제 주도 세력의 변화와 그 영향
신라사학보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