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일제 말의 상황과 ‘남양군도’에서의 제국주의
3. 식민지 유산의 청산과 동아시아 민중 연대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언론을 통해 본 한일협정 인식 50년
역사비평
2015 .05
지볼트 평가의 현재적 의미 -기념사업과 자료보존-
일본문화학보
2022 .08
Treaties Leading to Japan’s Annexation of Korea : What Are the Problems?
Korea Journal
2016 .12
노동자 생활을 잠깐 한 사람
푸른사상
2021 .12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과 일본 내 운동세력의 동향 : 1920년대 재일조선인 운동세력과 일본 사회운동세력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9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북마리아나 지역 이주와 특징(1918∼1941)
숭실사학
2020 .01
노동자국가와 민주주의
현대사상
2023 .09
낯선 이웃, 재일조선인
황해문화
2016 .03
필수 노동자의 힘
창비어린이
2021 .03
근대중국의 불평등조약 중 선교조항의 선교적 이중성
신학과 목회
2015 .05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16 .01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경(東京)의 공간적 특성과 재현 양상 연구 -동경의 동부지역과 재동경(在東京) 조선인 노동자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17 .01
대학원생도 노동자다
인물과사상
2018 .05
교육노동자의 눈으로 보는 ‘민주주의와 교육’
현대사상
2023 .09
프랑스의 1960년대 한국 대외정책 인식: 한일협정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15 .01
도쿄지역 재일조선인의 3·1운동 기념일 투쟁의 양상과 특징 : 1920년대~1940년대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08
1920년대 전반기 조선인 노동자의 구직 渡日과 부산시민대회
역사교육
2015 .12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확장 -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와 일제 말의 ‘남양군도(南洋群島)’-
한민족문화연구
2018 .01
평등사회와 노동자문학운동
현대사상
2024 .10
[젠더] 피해자 A는 노동자다
황해문화
202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