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몽골의 샤머니즘적 전통과 元代 신앙의 특징
3. 몽골의 모계적 전통과 元代의 여성관
4. 木蘭 碑文의 장르적 상징성과 문학적 함의
5. 몽골문화 연구의 가치와 의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李商隱 詩의 神話的 이미지 考察
중국문학연구
2017 .01
檀君與箕子書寫文化溯源——兼談其歷史應用問題
동아문화
2017 .12
서하와 비서갑의 또 다른 단군신화
한일관계사연구
2023 .05
다이쇼 데모크라시시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의 국가의식 - 이사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와의 비교를 통하여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일본 신화에 나타난 고대 한일 교류의 편린 - 상어(와니)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17 .01
재일문학 속 재일한국인 표상 연구 -원수일의 『이카이노이야기(猪飼野物語)』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22 .08
뮬란의 정치학 : 「木蘭詩篇」에 나타난 문화개방 및 소수민족 정책
중어중문학
2016 .12
スサノヲ神話に関する一考察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거란-여진-몽골제국 시기 옥전 한씨 가문의 위상 변화에 관한 고찰 - ‘故宣武大將軍韓公墓誌’(1269)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21 .01
몽골제국은 어떻게 정의를 달성했는가? - 제국의 立法 논쟁과 법문화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4
제국 안으로의 피신 - 도적과 몽골제국 권력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1
한일 간 문화콘텐츠 분야의 현지화 논의 재고: 혼종성에서 혼종화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투영하는 세계
청색종이
2023 .03
円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舶部材 ‘누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학연구
2018 .11
몽골 제국과 木蘭의 神話化 : 元代 木蘭 碑文에 투영된 문화적 혼종성 연구
중국문화연구
2018 .11
‘공정’의 신화를 넘어서
역사비평
2022 .08
[서평] 《제국》을 읽고: "제국" 개념의 역사
현대사광장
2015 .12
청 제국의 지배이념과 지배체제
史叢(사총)
2016 .01
신화, 꿈, 권력, 그리고 문화콘텐츠
종교문화연구
2016 .06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論語 傳播
민족문화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