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루만의 통상적인 민주주의 개념 비판
Ⅲ. 루만의 민주주의 개념
Ⅳ. 민주주의의 미래
Ⅴ. 루만의 민주주의 개념에 대한 비판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당 만들기’ 프로젝트 수업 이야기: 정치에 참여한다는 것의 의미
사회과수업연구
2017 .01
경제 영역에서의 민주주의에 관한 고찰
경제법연구
2021 .12
디지털이 수식하는 시민정치와 민주주의 : 참여의 혁신에 대한 비판적 재고
경제와사회
2022 .06
시민정치의 흐름과 네트워크정당모델의 과제
민주주의와 인권
2016 .03
Why Are South Korean Citizens Dissatisfied with Democracy?
비교민주주의연구
2019 .01
공화민주주의모델의 헌법적 가치구성의 의의와 한계점
한양법학
2017 .11
자유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원광법학
2015 .01
정당등록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공법학연구
2020 .11
대의민주주의와 국민참여에 관한 소고
공법학연구
2020 .11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쇼의 정치현실 구성에 관한 연구 : TV조선 〈이것이 정치다〉와 JTBC 〈정치부 회의〉에 대한 계층적/기능적 분화형식 분석
언론과 사회
2018 .08
정당설립의 자유의 제한과 한계 - 「정당법」상의 ‘전국정당조항’에 대한 위헌심판 결정을 중심으로 -
한양법학
2024 .05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당법’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7 .01
한국의 민주주의관과 민주주의 위기: 역사적 배경
한국정치연구
2023 .02
시민의 입법참여와 헌법 - 국민발안제 도입논의를 중심으로
외법논집
2018 .01
The Current State of South Korea’s Democracy
JIAS
2016 .01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20 .01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새로운 민주적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시론-
공법연구
2020 .12
통합진보당의 진보적 민주주의 성격 분석 : 프로그레시브 데모크라시와 어드벤스드 데모크라시 및 민족해방 민주주의 비교
사회과학연구
2015 .12
Social Conditions of Village Democracy in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Sociology
2018 .03
경제와 민주주의: 적인가, 친구인가?
제도와 경제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