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머리말
Ⅱ. ‘원(冤)’의 담지자로서 인간
Ⅲ. ‘해원상생(解冤相生)’의 이념
Ⅳ. ‘해원상생’의 실천규범으로서 ‘훈회(訓誨)’의 문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24 .03
해원 개념의 용례와 종교적 전환
대순사상논총
2021 .12
해원상생과 정신분석의 욕망이론 - 애도를 중심으로 -
대순사상논총
2017 .06
초국적 이주 현상에 대한 환대의 종교사상 고찰 : 대순사상의 ‘양심’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22 .12
대순진리의 해원(解?)사상에 대한 해체(解體)론적 이해: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론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21 .12
대순진리회의 ‘포덕’개념의 특징
대순사상논총
2019 .01
대순진리회 생태론 연구서설: 상생생태론
대순사상논총
2020 .01
해원상생 관점에서의 북한인권문제 고찰
대순사상논총
2022 .12
1920년대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에 나타난 해원(解?)서사의 양상과 그 치유성-≪강증산 일대기≫ 서사 속 해원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1 .12
상생의 의미와 자기 내면으로 회귀하는 정신 - 헤겔의 생명과 정신개념을 중심으로 -
대순사상논총
2017 .06
해원상생사상의 평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2022 .03
대순사상의 남녀평등이념과 여성성 재조명 ? 여성해원의 원리로 본 공덕과 실천을 중심으로 -
대순사상논총
2017 .12
주자와 증산의 상생이론 비교 고찰
대순사상논총
2021 .08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2019 .01
‘해원상생’에서 ‘상생’의 존재론적 근거: ‘사방-세계’와 ‘초연한 내맡김’, 그리고 ‘거주하기’
대순사상논총
2021 .01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전경(典經)』연구
대순사상논총
2024 .09
대순사상의 요순관
대순사상논총
2018 .12
‘프레카리아트’와의 상생을 위한 환대의 정치 -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
대순사상논총
2019 .01
한반도 통일 유형별 북한지역의 대순진리회 3대 중요사업 추진 여건과 방안 연구
대순사상논총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