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시작하기
Ⅱ. 외국인의 지위에 관한 헌법규정 도입경위와 학계의 해석
Ⅲ. 외국인의 법적 지위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
Ⅳ. 헌법 제6조 제2항에 따른 외국인의 법적 지위
Ⅴ. 마무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헌법재판소 1994. 12. 29. 선고 93헌마120 전원재판부〔각하〕
헌법재판소법(憲法裁判所法) 제68조 제1항에서 “……기본권(基本權)을 침해(侵害)받은 자는 헌법소원(憲法訴願)의 심판(審判)을 청구(請求)할 수 있다”고 규정한 것은 기본권(基本權)의 주체(主體)라야만 헌법소원(憲法訴願)을 청구(請求)할 수 있고, 기본권(基本權)의 주체(主體)가 아닌 자는 헌법소원(憲法訴願)을 청구(請求)할 수 없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11. 29. 선고 99헌마494 전원재판부
가.청구인들은 재외동포법 제2조 제2호만을 심판대상으로 적시하였으나, 재외동포법시행령 제3조는 재외동포법 제2조 제2호의 규정을 구체화하는 것으로서 양자가 일체를 이루어 동일한 법률관계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있고, 시행령규정은 모법규정을 떠나 존재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의 심판대상을 동 시행령규정에까지 확장함이 상당하고, 정부수립이전이주동포를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9. 29. 선고 2007헌마1083,2009헌마230,352(병합) 전원재판부
가. 직업의 자유 중 이 사건에서 문제되는 직장 선택의 자유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만큼 단순히 국민의 권리가 아닌 인간의 권리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외국인도 제한적으로라도 직장 선택의 자유를 향유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청구인들이 이미 적법하게 고용허가를 받아 적법하게 우리나라에 입국하여 우리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08헌마430 전원재판부
가. 외국인등록을 하지 아니한 채 오랜 기간 불법적으로 체류하면서 스스로 출국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청구인들에 대한 긴급보호는 출입국관리법상 긴급보호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볼 수 없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8. 3. 26. 선고 96헌마345 전원재판부
기본권의 보장에 관한 각 헌법규정의 해석상 국민(또는 국민과 유사한 지위에 있는 외국인과 사법인)만이 기본권의 주체라 할 것이고, 국가나 국가기관 또는 국가조직의 일부나 공법인은 기본권의 `수범자(受範者)`이지 기본권의 주체로서 그 `소지자`가 아니고 오히려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 내지 실현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니고 있는 지위에 있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7. 8. 30. 선고 2004헌마670 전원재판부
가. 근로의 권리가 “일할 자리에 관한 권리”만이 아니라 “일할 환경에 관한 권리”도 함께 내포하고 있는바, 후자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침해를 방어하기 위한 자유권적 기본권의 성격도 갖고 있어 건강한 작업환경, 일에 대한 정당한 보수, 합리적인 근로조건의 보장 등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등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므로 외국인 근로자라고 하여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4. 12. 29. 선고 94헌마205 전원재판부〔기각〕
청구인(외국인(外國人)의 고소사실(告訴事實)에 대하여 검사(檢事)가 현저히 정의와 형평에 반하게 수사를 소홀히 하였거나 헌법(憲法)의 해석, 법률(法律)의 적용에 있어서 불기소결정(不起訴決定)에 영향을 미친 중대한 잘못을 범하였다고 보여지지 아니하며, 또한 검사(檢事)의 불기소처분(不起訴處分)이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가 관여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11. 28. 선고 2012헌마166 전원재판부
가.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권은 대통령이 어떠한 정책을 국민투표에 부의한 경우에 비로소 행사가 가능한 기본권이다. 한미무역협정에 대한 대통령의 국민투표 부의가 행해지지 않은 이상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권의 침해 가능성은 인정되지 않는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대한 고찰 - 헌법 제6조 제2항의 해석을 중심으로 -
공법연구
2019 .12
외국인의 기본권보장 방안 - 헌법상 근거, 기본권주체성, 기본권제한에 관하여 -
법조
2019 .01
외국인의 헌법적 지위 : 국민과 외국인 구별의 헌법적 의미
법학연구
2017 .02
헌법해석상 이주민의 지위에 관한 재구성 -외국인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들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중심으로-
유럽헌법연구
2023 .04
외국인의 사회권과 헌법재판소 판례 비판
인권연구
2018 .06
헌법과 인권조약의 관점에서 본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문제
동북아법연구
2018 .01
사법부 구조개혁에 관한 연구 -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갈등관계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0 .01
이주민의 기본권 - 불평등과 ‘윤리적 영토권’ -
헌법학연구
2016 .01
헌법상 기본권 보장체계의 개방성에 관한 小考 ―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의 헌법적 보장의 측면에서 ―
세계헌법연구
2015 .01
외국인 근로자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 인간 존엄성의 관점에서
법학논총
2018 .10
이민행정법상 체류외국인 법제에 관한 공법적 고찰 - 미국 이민행정법상 체류외국인 관련 법제 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19 .05
인간다운 최저생활을 보장받을 권리와 외국인
헌법학연구
2020 .01
헌법개정과 사회적 기본권
법학연구
2018 .08
정주외국인의 참정권 보장에 관한 일고찰
미국헌법연구
2021 .12
헌법과 헌법재판을 통해 본 사회보장법의 전개
저스티스
2019 .02
외국인에 관한 출입국행정의 재량행위성과 입법적 통제
공법연구
2016 .12
헌법기능과 기본권 질서, 헌법개정의 방향
헌법학연구
2021 .09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상 적법요건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인권과 정의
2017 .01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론의 재정립에 관한 시론
법학연구
2020 .03
CONSTITUTIONAL REVIEW AND DEMOCRACY IN INDONESIA
유럽헌법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