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역사 제도적 배경
3. 한국전쟁기 민주선전실의 인민 교육 활동
4. 한국전쟁기 민주선전실의 인민 동원 활동
5.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전쟁기 북한의 민주선전실에 관한 연구 : 운영구조와 지도체계를 중심으로
군사
2017 .03
북한 미디어스피어(mediasphere)의 진화와 프로파간다(propaganda) -포스터 생산의 지속과 변화를 중심으로-
북한학연구
2023 .06
The ISIL’s Propaganda War and its Implications
IFANS FOCUS
2016 .06
탈북민의 구술을 통해 본 북한의 프로파간다 문화: 시각적 프로파간다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2024 .06
북한 핵 선전선동전략 연구: 전략의 3요소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2016 .01
애국주의 소비가 국제시장 경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프로파간다 활동을 중심으로
국제통상연구
2024 .09
[송정섭의 손그림] PROPAGANDA
더스쿠프
2023 .03
台灣官方網路宣傳模式之分析:以蔡英文政府為例
대만연구
2024 .06
북한의 인지전으로서 유튜브 사이버 프로파간다 내러티브 분석: 내러티브 구성적 접근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한국범죄심리연구
2024 .03
6·25전쟁기간 북한군 정치훈련의 내용과 특징
정신전력연구
2022 .11
컴퓨테이셔널 프로파간다에 대한 탐색적 시론 : 정치적 봇과 그 사회정치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20 .10
제 2차 세계대전 시기 브랜드 프로파간다에 대한 역사적 연구: 1939년~1945년의 미국을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21 .11
1960년대 박정희 정부 공보선전 정책의 정치적 성격
한국언론학보
2017 .12
한국전쟁 전후 북한사회계층의 변화 연구(1945-1961)
한국정치학회보
2015 .06
상대적 약소국의 전쟁억제와 승리 요인 : 예비전력과 전시동원체제
국제정치논총
2018 .12
プロパガンダを越えた戦時期の朝鮮映画 - 『志願兵』と『朝鮮海峡』の比較-
일본근대학연구
2015 .01
한국전쟁기 상해지역 ‘항미원조(抗美援朝)’ 운동의 실상과 특수성 : ‘항미’(抗美)와 ‘원조’(援朝) 사이에서
군사
2017 .12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015 .01
ISIL 선전전(宣傳戰, Propaganda War)의 내용과 함의
주요국제문제분석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