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0권 제4호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245 - 268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서로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시 소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56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HKRM(Healthy Kids Resilience Module; Hanson & Kim, 2007)과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LeBuffe & Naglieri, 1999)의 척도를 이지현(2012)이 재구성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염현경(1998)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Harter(1985)의 자기보고식 아동용 사회적 지지척도(Social Support Scale For Children)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은 Pearson적률상관 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유아의 회복탄력성의 61%를 예측하는 예측변인들로 밝혀졌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70-00096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