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트라우마와 신경증: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2. 트라우마인가 환상인가
3. 개인적 트라우마와 사회적 트라우마: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4. 정신병적 폭력과 그 극복: 망상 - 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 - 멜라니 클라인
5. 결론을 대신하여: “충분히 좋은 엄마”와 “충분히 좋은 국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쟁, 폭력, 반폭력에 관한 몇 가지 성찰
황해문화
2022 .12
사회적 트라우마의 돌봄을 위한 「트라우마 상징」 연구
목회와 상담
2017 .01
『두 도시 이야기』: 개인과 집단의 트라우마와 치유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6
장애 트라우마의 시적 인식과 치유-『빈집에서 겨울나기』의 자기분석-
문학치료연구
2024 .04
[자세히 읽기] 동일화 의지의 폭력성에 관한 성찰
수필미학
2021 .09
폭력과 한국사회
지식의 지평
2015 .04
때론 매개된 폭력이 더 폭력적이다
지식의 지평
2015 .04
토니 모리슨의 『자비』: 트라우마와 애착행동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6
심리적 트라우마의 정보처리 : 뇌생리학적 근거와 트라우마 내러티브
인간·환경·미래
2015 .04
5 · 18과 가족 트라우마 - 5 · 18 사상자 아내들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
비교민속학
2021 .04
정신적 상처의 원인과 치유의 탐구—프로이트의 트라우마 이론 다시 읽기
비평과이론
2022 .06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론 정립을 위한 모색: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에 관한 속류화와 혼란들을 넘어
시대와 철학
2022 .03
기후변화 대응의 현주소와 기후 부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모색: 나이트 샤말란의 <해프닝>
비평과이론
2021 .01
반폭력으로서 돌봄 정치
황해문화
2023 .09
청소년소설 읽기와 청소년의 감정 격동 치유
한국아동문학연구
2021 .06
자아 성찰과 관계를 통한 치유 - 박경리 『토지』를 중심으로 -
국제한인문학연구
2015 .02
‘사회적 타살’의 시대, 트라우마 극복의 길 찾기 :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한국전쟁에서 쌍용차까지』 (김동춘·김명희 외, 역사비평사, 2014)
역사비평
2015 .02
분단폭력 트라우마의 치유와 `불일치`의 정치
통일인문학
2018 .06
폭력이 아닌 법의 가능성 : 법과 폭력의 21세기 공간
지식의 지평
2015 .04
Sartre, Girard et la violence
프랑스학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