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머리말
Ⅰ. 嘉慶연간(1796~1820) 對淸 인식 : 혼재된 황제 평가
Ⅱ. 道光 연간(1821~1850) 對淸 인식 : 긍정적 황제 평가의 지속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外交儀禮의 특징
동양학
2016 .01
고려 공민왕대 대중국 사신 인선의 특징
동국사학
2016 .01
[조선시대 톺아보기] 《경국대전》 조선 왕조의 통치이념을 담다
유레카
2024 .07
고대 동아시아의 사신왕래와 ‘送使’ : 고대 중국 왕조의 사신 전송 문제 검토를 중심으로
신라사학보
2018 .12
淸 朝貢國 使臣 儀禮의 形成과 變化
동양사학연구
2018 .06
淸使의 삼전도 행차와 양국의 기억
전북사학
2019 .01
영화 <남한산성>: 조선의 글과 청의 길
세계와선교
2017 .12
연변대학 조선언어 연구방향 석사학위론문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2016 .07
‘유가 군주’ 건륭제乾隆帝가 조선에 보낸 선물의 성격-정조正祖연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4 .02
『황화집』 서문과 기자 관련 창수에 나타난 조선 문신의 자주적 문명의식
장서각
2022 .04
일제 말 대중 잡지에서 보이는 ‘조선’이라는 공간인식 : 『관광조선』과 『모던일본 조선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王世子 冊封으로 본 淸·朝 관계 (康熙 35년 乾隆 2년)
동양사학연구
2019 .03
한국과 ‘조선’의 국제관계
현대사광장
2015 .06
使行團의 경험을 통해 말하는 조선
동방한문학
2016 .01
명 · 청시기 조선 사신들의 대중국 인식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 ‘연행록’중의 산해관시(詩)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5 .09
6세기 중국왕조의 정세 변동과 백제의 외교 변화
역사학연구
2020 .01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불교학연구
2015 .01
조선왕조의 戶籍과 통치체계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1
고려‧원 관계 초기 원 使臣의 來往과 외교 관계의 변화
인문학연구
2017 .01
임진전쟁기 조선 사신의 대명(對明) 외교활동 ― 정유재란 중 대명 사행록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22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