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윤주 (서울시립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사학연구 제126호
발행연도
2017.6
수록면
203 - 244 (4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목은시고』, 『유항시집』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하여 고려 우왕대 이색과 한수의 교유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그들의 일상을 역사적 관점으로 풀어가려 했다. 시는 그들이 처음 만났던 10대 무렵부터 한수가 세상을 떠나는 때까지 거의 40년 간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었다. 단, 각각 수록된 시를 교차 검토하게 되면, 그 시기는 1375년(우왕 1)∼1384년(우왕 10)에 한정된다. 우왕대에는 그들이 대체로 정계 일선에서 벗어나 있던만큼, 정치적인 이해관계는 별로 개입되지 않았다. 과거 공민왕대처럼 패기 있게 성균관 중영을 주도하고, 신돈의 개혁에 반대하던 혈기왕성함도 사라져 있었다. 노년의 몸은 매일 쑤시고 아팠으며, 나이만 들어가던 세월은 야속하기만 했다.
하지만 그들은 시를 통해 문학적 감성을 나누며 서로를 위안했다. 그들 사이의 ‘시 짓기’는 교유관계의 핵심이자 일상 그 자체였다. 상대의 안부를 묻는 편지가 되기도 했고, 삶의 고민과 즐거움이 담긴 일기장이 되기도 했으며, 누각에 올라 달을 보며 짓는 감상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이색이 시를 지으면 한수가 창화하기도 했다. 가끔은 또 다른 사람들이 이어 차운하여 시를 지었다. 단순히 운자를 가져오는 데 그치지 않았고, 시적 공감대를 그들의 교유관계 속에서 확산해 갔던 것이다.
그들의 교유관계에서는 고려 말 신흥유신의 특질도 엿보인다. 신흥유신은 고려 말 성리학 수용에 적극적이었고, 과거를 통해 입사하였다. 과거를 통한 인연은 좌주, 문생, 방백, 동년 등으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신흥유신 결집의 주요 동력 중 하나였다. 이색과 한수의 가문 역시 좌주, 문생, 방백 등으로 삼대가 얽혀 있었다. 거기에 혈연, 혼맥, 학연까지 얽히면서 인간관계의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 이는 『고려사』, 족보 등의 사료에서도 기본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문집 속 시문에서는 그러한 관계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는 사람의 감정적인 측면이 듬뿍 담겨 있는 문학 작품이지만, 다른 사람이 차운한 시문 및 관찬 사료까지 관련시켜 분석하면 시대적인 과제와 고민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했다. 특히, 이 글에서는 당시 국가적 위기였던 왜구 문제에 대한 관심을 주로 살펴보았는데, 한수의 경우 유배 시절에 왜구 침략의 실상을 접하게 되면서 그에 대한 방책을 모색하는 것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또한 이런 상황에서 왜구를 물리쳤던 전과를 올렸던 최영, 이성계를 위해 지은 시문도 주목되었다. 이색, 한수를 비롯한 당대의 유학자들이 모두 승리를 축하하였고, 그러한 가운데 고려 종묘사직의 안정을 기원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고려 우왕대는 신흥유신의 결집이 정계에서 두드러지지 않는 시기였다. 그러나 정계 밖의 일상생활에서는 신흥유신 내부의 결속이 과거, 시회, 모임 등을 통해 지속되어 갔다. 과거 공민왕대에 비해 성리학의 발전도 주춤하게 되어 가끔은 그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곤 했지만, 사적 관계망에서의 유대를 통해 학문적 기대와 희망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료가 바로『목은시고』, 『유항시집』의 시문이라고 여겨진다.

목차

요약
머리말
Ⅰ. 『유항시집』의 작시 연대 및 구성
Ⅱ. 이색과 한수의 차운시
Ⅲ. 우왕대 이색과 한수의 교유관계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911-001052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