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머리말
Ⅰ. 『유항시집』의 작시 연대 및 구성
Ⅱ. 이색과 한수의 차운시
Ⅲ. 우왕대 이색과 한수의 교유관계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조선 말기 유신 개념의 역사적 이해 — 고종⋅순종 시기 승정원일기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2018 .01
우왕 2(1376)년 10월, 왜구 최초의 기병(騎兵) 동원에 관한 고찰 - 임파현 전투(9월)와 행안산 전투(10월)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
한일관계사연구
2023 .05
麗末鮮初의 茶文化 樣相 硏究
차문화산업학
2017 .01
2억 년의 시집
월간에세이
2018 .05
고려 우왕대 재이・병란과 천도론의 정치적 의미
[TCHCCOS] 서울과 역사
2020 .10
경남 지역의 왜구와 낙동강
역사와경계
2022 .04
[다른 지역은]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노인일자리_이색일자리를 찾아서
월간 옥이네
2023 .12
[메이지유신 발발 150주년] 메이지유신과 동아시아의 체제 변혁 : ‘뒤틀린’ 역사 속 ‘가지 않은 길’ 찾기
지식의 지평
2018 .06
유신 진화론에 대한 신학적 비평
신학정론
2015 .11
고려말 왜구의 섬 침략과 군사적 대응
도서문화
2024 .06
고려 중·후기 유학자의 불교 교섭
동양고전연구
2021 .01
[이색 워킹 메이트] 나와 함께 걸었던 친구를 소개합니다
PAPER
2018 .03
동아시아의 재난, 해적과 왜구 ―13∼14세기 왜구를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21 .01
왜구론의 행방 : ‘바다의 역사’와 일본 중세 대외관계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9 .10
유신 말기의 나비 효과
인물과사상
2016 .08
고려후기 신흥사대부의 절의(節義)에 대한 소고
포은학연구
2015 .01
여말선초 성리학파의 불교인식 변화양상
동양고전연구
2016 .01
블랙리스트와 유신의 종말
문화과학
2017 .03
次韻詩의 상호텍스트적 성격 — 尹善道의 시를 대상으로 —
동양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