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미국 정부의 미국학 대외 확산 정책
Ⅲ. 주한 미공보원의 개입과 한국의 미국학 도입
Ⅳ.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과 미국 정부의 지향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차세대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 미국 동포를 중심으로 -
계간 외교
2023 .10
포스트냉전 시대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이상과 현실 : 동아시아시대 한국의 지정학적 운명 극복을 위한 길
국가안보와 전략
2017 .01
Remapping Cultural Configurations of Imagined Community in Toshio Mori’s Yokohama, California and Abraham Verghese’s My Own Country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 OMNES
2022 .01
냉전 시대 연구의 심화 작업, 그러나 냉전 시각에서 벗어났는가?
통일과 평화
2022 .12
Outsiders within: Latin American Studies from East Asian Perspectives
라틴아메리카연구
2021 .04
Democratic Distance and Asian Views of Chinese and American Influence
Global Asia
2017 .03
Owning Ideas : The Intellectual Origins of American Intellectual Property, 1790–1909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구호물자에 담긴 냉전 : 주한 케아(C.A.R.E.)의 패키지로 살펴보는 냉전과 인도주의
통일과 평화
2020 .01
Current Situation and Urgent Problems of American Identity -With a Special Reference to Views of American Farmers
지역사회학
2019 .01
동아시아담론에 대한 비평적 회고와 전망 : ‘의지적 낙관주의’와 ‘미래사적 방법론’의 활용
아세아연구
2018 .12
냉전기 북한의 상상 지리와 ‘평양 선언'
통일과 평화
2020 .01
동맹의 결정: 사드(THAAD)와 한미 동맹, 미국 패권
의정연구
2017 .01
문화냉전 속 추상미술의 지형도: 추상표현주의의 전략적 확장과 국내 유입 과정에 관하여
통일과 평화
2018 .01
‘Korean American’ 용어에 대한 재미한인들의 개념 정의 및 내포에 대한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2019 .06
미국 헤게모니와 동아시아 지역체계의 공진화
한국정치연구
2019 .01
Globalization of Latin American Studies in the Intertwined Network
라틴아메리카연구
2021 .04
고등학교 야구대회를 통해 읽는 한국의 냉전문화
아시아리뷰
2024 .12
동아시아 ‘냉전의 섬’에서의 평화 사상과 연대
아시아리뷰
2016 .02
1950년대 한국에서의 미국 도서번역 사업의 전개와 의미
한국언론정보학보
2016 .08
1950년대 상남영화제작소의 설립과 운영, 이전(移轉) 논의
언론과 사회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