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농촌 근대화, 냉전의 사각지대?
2.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 : 농촌 재편 전략의 상호학습과 전파
3. 한국의 농촌 재편 전략: 냉전 체제의 부정과 냉전의 내면화
4. 나가며: 지역사회, 탈냉전하였는가?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근현대사 연구 50년의 성과와 과제
동양사학연구
2015 .12
의식 개선을 통한 환경관리: 1970년대 초 도시의 환경 문제와 도시새마을운동
한국과학사학회지
2023 .04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한국적 ‘신냉전사’의 가능성: 허은(2022), 『냉전과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 창비, 596쪽
인문논총
2022 .11
박정희 정부시기 농촌사회 재편과 지역 총력안보체제 구축- 구성면 면정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
史叢(사총)
2015 .01
냉전의 오리엔탈리즘 비판과 탈식민적 냉전 연구
시대와 철학
2024 .09
‘삐라를 든 여자들’의 냉전 -해방/전쟁기 여성작가 김말봉의 행로와 문화냉전의 젠더정치-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 : 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역사비평
2017 .02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현재와 미래 : ‘동아시아공동체론’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5 .09
도시의 공동체와 통제: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2 .11
독일 냉전사 연구의 관점과 주제들
역사비평
2015 .05
어느 독립운동가 마을의 새마을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6 .01
냉전과 ‘원숭이’ 표상
사이間SAI
2018 .01
ODA를 통한 대 모잠비크 개발협력 강화 방안: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2017 .01
Not Yet Post-Cold War Era : A Genealogical Search for the Cold War Discursive Infrastructure in Counter-Jongbuk Surveillance Politics
Korea Journal
2018 .12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
史叢(사총)
2018 .01
한국군의 남베트남 ‘농촌 平定’ 개입과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
한국사학보
2017 .11
구식 냉전연구와 신식 냉전사 ―세르히 플로히의 『얄타』와 오드 아르네 베스타의 『냉전의 지구사』
역사비평
2021 .02
전후 ‘반공포로’의 탄생과 남한 정착의 실상
사림
2024 .04
‘정사’ 대 ‘비사’ - 1950년대 미국의 6·25전쟁사 연구와 냉전문화
역사비평
2020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