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줄리엣 미첼-일베와 메갈리아의 동기 관계
2. 제시카 벤자민-상호인정을 통한 피해자 너머로
3. 뤼스 이리가레-미메시스와 미러링
4. 주디스 버틀러-페미니즘 내부의 목소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그리하여 함께, 다시 줍는 것 : 신나리, 『다시 줍는 시: 상처와 함께 읽고 쓴 날들의 기록』(여이연, 2023)
여/성이론
2023 .06
덧셈 모델이 아니라는 이야기는 그만 하자 : 전혜은, 루인, 도균 『퀴어페미니스트, 교차성을 사유하다』(여이연, 2018)
여/성이론
2019 .05
실격된 몸, 감정, 삶을 통해 포스트코로나-페미니즘을 상상하기 : 임옥희 · 김미연 · 김은하, 『실격의 페다고지 : 감염병 시대, 실패에 대한 다른 상상』(여이연, 2022)
여/성이론
2022 .12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여/성이론
2017 .12
페미니스트들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
여/성이론
2022 .08
페미니스트 여성 정치인 ‘여기 있다’
여/성이론
2020 .08
환경무질서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16 .10
2017 페미니스트 캠프 : 우리는 지옥에서 온 페미니스트
여/성이론
2017 .05
COVID-19 팬데믹 시기 정신건강전문가의 정신장애인 돌봄 경험 -정신재활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12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직무소진과 정서노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8 .01
20대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페미니즘’과 그 의미: 페미니스트-되기의 해방과 곤경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2022 .06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 .12
종교성/영성 하위요인과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2021 .02
정신장애인의 체험홈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2019 .01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과융복합 정책적 함의
디지털융복합연구
2015 .01
정신건강 복지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정신질환자의 수요자 인식에 관한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2021 .08
정신재활서비스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역량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2020 .11
혐오발언에 기생하기 : 메갈리아의 반란적인 발화
여/성이론
2015 .12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20 .01
실험실의 페미니스트들: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의 여성 과학자와 ‘페미니스트로서 과학하기’
젠더와 문화
202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