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일제강점기 고고학 자료의 현황과 과제
III. 한국 고고학 자료의 현황과 과제- 자료 전산화와 데이터베이스 현황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고고학의 인골 연구성과와 전망
영남학
2016 .01
문화재 발굴현장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 영남문화재연구원「어린이발굴학교」운영사례 중심으로 -
야외고고학
2017 .03
카자흐스탄의 발굴과 보고서
야외고고학
2017 .11
중국의 발굴과 보고서
야외고고학
2017 .11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 ‘돌돌탐험대’와 ‘고고학 체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2019 .01
일본의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배포, 활용
야외고고학
2017 .11
70~80년대의 한국고고학
한국상고사학보
2017 .01
색의 고고학 외 1편
시조시학
2022 .06
창산 김정기의 유적조사와 한국고고학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문화재 발굴 조사·연구 과정의 개선 방안 연구- 신라 고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호서지역 고고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 담론
2021 .10
기후 변동의 고고학-일본고고학 연구 사례의 비판적 검토-
선사와 고대
2018 .01
한국에서의 근현대고고학 개념 정립과 전망
고고광장
2024 .06
경주 월성유적의 고환경 연구 사례 연구
고고광장
2019 .01
(탈)식민공간에 대한 고고학적 탐색과 발굴 ―셰이머스 히니의 글쓰기 시학
현대영미시연구
2019 .01
한국고고학 형성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2017 .01
발굴조사보고서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2014년~2016년도 보고서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8 .01
北韓 考古學界 最近 現況 檢討-『 조선고고연구』에 대 한內容分析을 中心으로-
호서고고학
2018 .01
고고학에 있어서 공백과 단절의 문제
한국상고사학보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