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Writing the Nation’ 시리즈 완간과 리뷰 포럼
II. 민족사의 역사적 지형도
III. 역사적 전환기의 민족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 · K생’의 그늘 :「한국으로부터의 통신」과 트랜스내셔널 공론장
동악어문학
2022 .10
세계화의 현실과 ‘트랜스내셔널 역사학’의 의미 : 독일 역사학계 논의를 중심으로
경주사학
2015 .12
민족의 국사 교과서, 그 안에 담긴 허상 : 4·5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016 .11
초국가사(超國家史) 방법론과 동아시아사의 서술
아시아문화연구
2016 .12
제도로서의 역사학과 ‘민족서사’의 미래
역사학보
2015 .12
한국사와 역사철학
유라시아문화
2020 .08
21세기의 새로운 역사 서술, 지구사(Global History)
역사와 문화
2015 .01
역사교육과 역사학의 거리
역사교육
2016 .06
Forum-Assist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Fostering a Greater Focus on Writing Accuracy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16 .01
‘역사가’ 되기의 어려움 : ‘서양사학’을 넘어 ‘역사학’으로 나아가기
역사학보
2015 .12
사학사의 관점에서 본 국내 중국 환경사 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22 .12
역사교육 내용선정 기준 -‘의미 있는 역사’의 개념 탐색-
역사교육논집
2021 .01
한국 공공역사 연구의 가능성과 지향
역사비평
2024 .08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과 공공역사가들
역사비평
2021 .08
한반도의 역사적 경험에 따른 한민족의 정체성 규명을 위한 시론
헤겔연구
2016 .06
‘발전’을 문제 삼기 ―‘발전사(History of Development)’ 연구의 전개와 동향
역사비평
2021 .02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12
학습내용구성 관점에서 본 최근 역사교육의 민주시민교육논의 : 대안적 구성 방향의 모색
역사교육논집
2018 .01
한국사 연구와 역사교육에서 정체성과 역동성, 공동체 정신
역사교육
2016 .06
한국 역사교과서 현대사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역사와교육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