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22
2017
2016
1. 새로운 소통방식으로서의 포스트잇
2. 미디어와 수사학적 공간
3.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으로 본 포스트잇 메시지 분석
4. 끝내면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상징과 수사학 : 수사학과 뮈토스의 조화를 위하여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6 .05
중국 수사학에 대한 소고 - 서양 수사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수사학
2020 .12
A Basic Outline of Greco-Roman Rhetoric
수사학
2015 .03
괴테의 반수사학의 수사학 - 수사학적 교양과 실천 -
수사학
2020 .04
초기 수사학 평론에서 흑인 인권운동 수사학 평론으로 변천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 ‘통합과 주류의 수사학’에서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으로 -
수사학
2019 .12
『알렉산더 수사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철학논총
2015 .04
세계 속의 한국 수사학 : 한국수사학회 21세기 국제학술교류의 역사
수사학
2015 .09
서구 수사학의 발전과 소멸에 대한 재조명
인문학연구
2024 .02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수사학적 설득이란 무엇인가?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11
Rettung des Rhetorischen? : Zum Rhetorikbegriff Ernesto Grassis
수사학
2017 .12
복음사역을 위한 상호관계 혁신의 수사학 : 빌레몬서를 그레코-로마 수사학으로 읽기
성침논단
2016 .12
갈등의 사회와 에토스의 수사학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6 .05
소통의 수사학과 보편청중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05
인지 수사학 : 비유의 수사적 인식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05
재난 시대, 청년 세대의 문화정치 :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에서 포스트잇 추모 행동까지
문화과학
2016 .12
러시아 수사학 발전의 역사와 언어문화와의 상관성 연구
수사학
2020 .04
러시아 수사학 발전의 현대적 경향 연구 - 현대 러시아 수사학 교육의 방법론 측면에서 -
수사학
2023 .04
말씀(logos)의 수사학과 공(空)의 수사학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수사학과 지눌의 선불교 수사학의 비교
신학사상
2021 .12
[추모시] “셔?”를 다시 읽으며
시조시학
2023 .06
[추모시] 저만치 가고 이만치 오려고
시조시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