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제1장 서론(이장규)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제2장 중국의 뉴노멀 경제 및 시사점(이승신)
1. 뉴노멀 시대에 접어든 중국경제
가. 중국 뉴노멀의 의미
나. 뉴노멀과 중진국 함정
2. 뉴노멀 시대 중국경제의 주요 과제 및 전망
가. 중국경제의 과제
나. 향후 전망
3. 뉴노멀 시대 중국 경제정책의 방향 및 평가
가. 뉴노멀 시대 경제발전 기본 방향
나. 뉴노멀 시대 경제발전 방향 평가
4. 우리의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
가. 우리의 대응방향
나. 정책제언
제3장 중국의 금융산업과 금융개혁의 향방(서봉교)
1. 중국의 금융부문 현황
가. 뉴노멀과 중국 성장전략의 전환
나. 뉴노멀 시대 중국금융의 역할 변화
다. 국유상업은행 중심의 금융구조 문제
라. 제한적 자본시장 개방과 낮은 금융 국제화 문제
2. 중국 금융개혁의 진행 현황
가. 소비자금융 강화: 소액대출회사와 촌진은행
나. 민영 모바일 전문은행의 도입
다. 자본시장 개방 확대: RQFII
라. 자본시장 개방 확대: 후강통(?港通)
마. 역외 위안화 채권시장의 발달
바. ‘일대일로’ 지원과 중국 금융사의 해외진출 확대
3. 한국의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
가. 중국진출 한국 금융사의 현황과 과제
나. 소비자금융 진출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 요구
다. 합작신용평가회사 설립으로 한·중 금융협력 기반 마련
라. ‘일대일로’ 금융투자 한·중 협력 모델의 구축
제4장 중국 자동차산업의 구조 변화와 한·중 분업구조(조철, 조고운)
1. 서론
2. 중속성장 시대 중국 자동차산업의 현황 및 발전전략
가. 중속성장 시대에 접어든 중국 자동차산업의 특징
나. 새로운 발전전략의 모색
다. 구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중국 자동차산업
라. 지속성장이 전망되는 중국 자동차산업
3. 자동차산업에서 양국간 분업구조의 현황과 전망
가. 부품 중심의 한·중 자동차산업 무역구조
나. 한·중 간 경쟁력 변화 추이 및 전망
다. 친환경자동차에서의 한·중 분업구조
라. 한·중 분업 및 경쟁구조의 변화 전망
4. 우리의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
가.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나. 정책방향
제5장 중속성장 시대의 중국기업 정책 및 시사점: 국유 및 민영 기업을 중심으로(이현태, 오종혁)
1. 서론
2. 중속성장 시대의 산업구조 및 소유제별 기업 성과
가. 중속성장 시대의 산업구조 변화
나. 중속성장 시대의 국유, 민영, 외자 기업의 성과 변화(공업부문)
3. 중속성장 시대 기업정책의 주요 변화
가. 국유기업 개혁정책
나. 민영기업 발전정책
4. 결론 및 시사점
제6장 중국의 지역발전전략과 한·중 경제관계 시사점(양평섭, 박진희)
1. 서론
가. 중국 지역발전전략의 변화 과정
나. 12차 5개년 규획 기간 중국의 지역발전전략 변화
다. 13차 5개년 규획 기간의 지역발전전략 전망
2. 중국의 3대 지역발전전략
가. 일대일로 전략
나. 창장경제벨트(?江???) 전략
다. 징진지(京津冀) 통합발전 전략
3. 대중국 지역협력 방향에 대한 시사점
가. 한국의 경제권별 경제협력 현황
나. 한국의 지역협력전략에 대한 시사점
다.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방향
제7장 신창타이(新常?) 시대, 한·중 통상관계의 향방(정지현)
1. 신창타이 시대, 중국 교역구조의 변화
가. 신창타이 시대로의 진입
나. 중국 교역구조의 변화
다. 중국 수입시장의 변화
2. 한·중 통상관계의 변화와 특징
가. 한·중 교역 현황
나. 한국의 대중국 수출구조 분석
다. 한국의 대중국 내수용 수출 특징
3. 한·중 통상관계의 향방
가. 신창타이 시대 한·중 통상관계 전망
나. 대중 수출전략 제언
제8장 한·중 해외직접투자 동향 및 시사점(오윤미)
1. 서론
2. 한·중 간 직접투자 동향
가. 현황
나. 투자구조
다. 중국의 대한국 투자 동향
3. 최근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유치정책
가. 정책 변화
나. 최근 외국인투자 정책 관련 동향
4. 시사점
가. 투자전략의 전환
나. 기술경쟁력 강화
다. 양국 정부간 정책협력 강화
제9장 요약 및 시사점(이장규)
1. 요약
2. 시사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22 .03
중국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한·중 경쟁력 변화와 대응전략
[KIEP] 연구보고서
2020 .06
중국경제론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중국] 2016 중국 왕홍산업(16년 21호)
[KOCCA] 해외 산업동향
2016 .12
주요 중소ㆍ중견 기업의 대중국 전략 분석
[KIEP] 연구보고서
2020 .07
[중국] 중국 문화산업 정책연구 보고서
[KOCCA] 글로벌&특화보고서
2015 .03
젊은 중국이 몰려온다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중국에 눈을 뜨다
관훈저널
2015 .09
중국 자동차산업의 혁신전략과 시사점
월간 KIET 산업경제
2018 .09
전환기에 처한 중국경제와 우리 산업의 대응전략
월간 KIET 산업경제
2019 .05
[기업] “중국으로 가는 가장 쉽고 빠른 길”
넥스트 이코노미
2020 .04
중국을 움직이는 100대 기업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5 .12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 평가와 시사점
[KIEP] 연구보고서
2018 .12
[중국] 중국 문화산업 10년 (15년 4호)
[KOCCA] 해외 산업동향
2015 .03
[중국콘산 18-15호] 2018년 중국 왕홍경제 발전 현황
[KOCCA] 해외 산업동향
2019 .01
[중국 20-19호] 중국 e스포츠산업 시장 현황 및 정책
[KOCCA] 해외 산업동향
2020 .12
중속성장 중국경제와 한·중 경제협력
[KIEP] 연구보고서
2015 .12
한·중 수교 25주년: 경제협력 성과 및 과제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17 .08
신발전구도에 따른 중국의 금융발전 전략과 시사점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 .03
중국경제의 구조변화가 국내 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
[KDI] KDI FOCUS
201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