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서문을 펼치다]
[목차]
[제1부 정조대왕 무예 신체관 서두를 펼치다]
1. 첫머리에 들어서다.
2. 연구의 내용, 방법, 범위를 설정하다.
3. 연구과제의 국내 · 외 연구동향을 살피다.
4.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제기하다.
[제2부 정조대왕 무예 신체관 실제 본체를 열다]
1. 정조시대 이전의 무예를 만나다.
2. 조선전기의 무기 무예체계를 만나다.
3. 맨몸 격투무예의 수박 · 상박 · 권법 · 각저를 묻는다.
4. 정조의 《武藝圖譜通志》와 화성(華城)을 만나다.
5. 조선시대 신체문화 《武藝圖譜通志》를 만나다.
6. 전통무예 『武藝圖譜通志』의 실제를 비판하다.
7.『무예도보통지』 장병무예 복원의 실제를 묻는다.
8.『무예도보통지』 장병 무예 복원을 비판하다.
9.《武藝圖譜通志》의 권법을 묻는다.
10. 예도(銳刀)의 무예실제와 비판을 묻는다.
11. 장병무예 장창 실제를 묻는다.
12. 마상무예의 발전과 兵書간행의 의미를 묻는다.
[제3부 정조대왕 무예 실제 마지막 말을 맺는다]
[참고문헌]
[부록 :《무예도보통지》진본을 펼치다]
[저자소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