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초기 성서번역에 나타난 표기
3. 한자어 수용방식 및 정도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漢字 學習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試論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日本 國字와 韓國 固有漢字의 고유성 판단 기준 설정의 필요성
동양학
2019 .01
韓․中 常用漢字를 활용한 ‘漢字․漢語 敎學方案’ 연구 ― 成語 ‘敎學相長’을 대상으로 ―
중국학논총
2020 .01
對應規則을 통한 日本漢字音 指導法 - ㅅ계열을 중심으로 -
일본어학연구
2019 .06
대응규칙을 통한 일본한자음 지도법 : ㄱ·ㅎ 계열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8 .01
漢字文化學을 통하여 본 漢字 字形의 의미 고찰
중국문화연구
2017 .02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 敎授・學習 方法
漢字漢文敎育
2017 .01
중국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漢字 敎育
漢文敎育論集
2022 .06
한자 수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아이트래커를 활용한 학습자의 한자 인지 특성 파악
漢文敎育論集
2017 .01
山攝韻의 韓․日 漢字音의 수용양상 및 韓․中․日 漢字音의 대응체계에 관한 연구* -韓․中․日 漢字音의 통합비교분운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1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漢字漢文敎育
2017 .01
대법원 선정 인명용(人名用) 한자(漢字)에 관한 고찰 — 인명용 한자의 변화와 논란을 중심으로 —
동방문화와 사상
2018 .01
漢字․漢語 敎學方案 연구Ⅲ
중국문학연구
2022 .02
異體字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漢字漢文敎育
2020 .01
漢字敎育이 靑少年에 미치는 影響 考察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 밖漢字․漢文 교육의 실태와 방향
漢文敎育論集
2022 .06
中古音 多音字의 類型에 대한 고찰 : 聲類를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2017 .12
성서 번역과정에 나타난 한일 공통 한자명사의 변화 추이 : 마가복음 번역사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2
학술용어 관점에서 ‘한국고유한자’ 명칭과 분류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한자계문자’를 제안하며
동양학
2019 .01
미래 교육과정과 한자 교육의 지향
漢文敎育論集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