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現代日本の文系学部や「人文学」の危機的状況と三種の学問
Ⅱ.『日本書紀』に記された「和の国」(和国)の原点
Ⅲ.『古事記』における「和」の実現としての「国譲り」
Ⅳ. おわりに:「人文学」と「日本研究」の問題と可能性
参考文献
요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莞本≪??通辨≫在中、朝、日的流?
퇴계학논총
2021 .01
Understanding Wa From the Inside Out
Global Asia
2023 .12
한국어와 일본어의 주어 실현 양상에 대한 일고찰
日本學(일본학)
2019 .11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19 .01
경기도 인문학사업 발전 방안
정책연구
2016 .12
정조의 평화사상: 탕평과 활법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2018 .01
도덕교육의 인문학적 함의
초등도덕교육
2016 .01
Peace Studies in Japan: Co-evolu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2023 .05
鏡像としての日韓のアイデンティティ : 戦後の日本と韓国の映画をめぐって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7 .10
중국 공산당 19차 당대회의 주요 모순에 대한 평가
중국과 중국학
2022 .01
인문학은 누구의 편인가? 노동의 인문학과 정치시민을 위한 논의
시민사회와 NGO
2015 .01
인문학과 예술의 접점에 대한 연구 :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탐색을 위해
미술과 교육
2020 .04
It Takes Three to Make a Korean Peace
Global Asia
2019 .06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s Role
평화학연구
2016 .06
인문학의 확장과 변용: 교정인문학의 방향과 전망
교정담론
2017 .01
인문학 연구와 국가의 지원
시민과세계
2015 .01
평화문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 한국에서의 의미와 과제
문화와 정치
2018 .06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2015 .02
韓国における日本言語文化研究のあり方を考える
일본언어문화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