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北宋初 道敎의 國家儀禮 진입과 景靈宮 건립
Ⅲ. 경령궁 의례의 종류와 절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何博士備論』版本 硏究
중국어문학논집
2019 .08
北宋上?士大夫的都市生活空??其歌?????以晏殊??案
한중언어문화연구
2021 .01
조선시대의 궁궐 침전 용어에 대한 辨證
백산학보
2018 .01
北宋下层文人的都市生活空间与其歌词书写 - 以柳永为个案
중국어문논역총간
2021 .01
唐五代 北宋詞의 敍事性 硏究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08
신라 禮部의 구성과 그 특성 -屬司의 관계와 직무를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024 .02
조선시대 유교 제사의 확산과 희생의 변용
종교문화비평
2017 .01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사
세계와선교
2016 .06
北宋 刻本에 대한 조사와 연구 추이
대동문화연구
2021 .01
무사의 자살과 왕생-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서 일탈하는 텍스트 슈라노(修羅能) –
일본학보
2019 .01
최근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2013년도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백제학보
2015 .01
동·서양의 ‘영(靈)’과 영성(靈性)의 비교 종교학적 고찰 - 율곡(栗谷)과 다산(茶山)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22 .12
제사 설화의 전승의식과 가족공동체의 문화적 의미
영남학
2022 .03
북송대 제례에서의 영정 수용 양상 연구 - 정이를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16 .12
국가제사로 고구려 역사를 논하다 - 강진원,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 (서경문화사, 2021) -
고구려발해연구
2022 .07
고대중국어 ‘제사’류 어휘 연구 — ‘祭’와 ‘祀’를 중심으로
중국문학연구
2020 .01
죽음 앞에서 삶을 기록하다.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이화어문논집
2020 .01
신라 祀典 체계의 특징과 운영 : 당,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서
역사와경계
2019 .03
동아시아불교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 -송(宋)과 고려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17 .01
0